01. 기초 이론
- 가. 행정개념과 행정 기능
 - 나. 행정학 성격과 접근법
 - 다. 행정 이념
 - (가) 수단적 가치
 - A. 합법성
 - B. 능률성
 - C. 민주성
 - D. 합리성
 - E. 효과성
 - F. 가외성
 - G. 투명성
 - H. 책임성
 - (나) 본질적 가치
 - A. 공익성
 - B. 형평성
 - C. 정 의
 - (다) 정부관
 - 라. 행정의 변천과 흐름
 - (가) 행정학 성립기
 - (나) 정치행정이원론
 - A. 행정관리설
 - (A) 과학적관리론
 - (B) 인간관계론
 - (다) 시장실패
 - A. 시장실패 원인
 - (A) 비효율성
 - a. 재화별 원인
 - (a) 재화 분류
 - (b) 재화별 구체적 원인
 - b. 기타 원인
 - (B) 비형평성
 - B. 시장실패 해결책
 - (B) 규제
 - a. 규제 모형
 - (라) 정치행정일원론
 - A. 통치기능설
 - (마) 정치행정이원론
 - A. 선진국 적용
 - (A) 행태론
 - B. 후진국 적용
 - (A) 생태론
 - (B) 비교행정론
 - (C) 체제론
 - (바) 정치행정일원론
 - A. 선진국 적용
 - (A) 신행정론
 - a. 정책과학
 - b. 후기행태주의
 - c. 현상학
 - d. 비판행정학 & 담론행정
 - B. 후진국 적용
 - (A) 발전행정론
 - (사) 정부실패
 - A. 정부실패 원인
 - B. 정부실패 해결책
 - (A) 감축관리
 - a. 민간화
 - (B) 규제완화
 - (아) 새정치행정이원론
 - A. 신공공관리론
 - (A) 공공선택론
 - (B) 신제도론
 - (자) 새정치행정일원론
 - A. 탈신공공관리론
 - (A) 네트워크 거버넌스
 - a. 사회적 자본
 - b. 시민 사회
 - c. 레짐 이론
 - (B) 공공서비스론
 - (C) 공공창출론
 - (D) 넛지이론
 - (차) 신공공관리론 VS 탈신공공관리론
 - (카) 종합 문제
 
02. 정책론
- 가. 정책
 - (가) 정책 개념
 - (나) 정책 유형
 - 나. 정책 과학
 - (가) 정책 문제 발생
 - (나) 정책 의제 설정
 - A. 정책 의제 설정 요인
 - B. 정책 의제 설정 주도자
 - (A) 사회중심 접근법
 - a. 다원주의
 - b. 엘리트주의
 - c. 기타
 - (B) 국가중심 접근법
 - a. 조합주의
 - (C) 이분법 극복
 - a. 정책네트워크 모형
 - C. 정책 의제 설정 과정
 - D. 정책 의제 설정 환경
 - (다) 정책 분석
 - A. 정책 목표
 - B. 정책 대안
 - (A) 정책 대안 분석 방법
 - a. 관리 과학
 - b. 체제 분석
 - c. 정책 분석
 - (B) 정책 대안 결과 예측
 - (C) 정책 대안 평가 기준
 - (D) 정책 대안 오류
 - (라) 정책 결정
 - A. 정책 결정 참여자
 - B. 정책 결정 기준
 - C. 정책 결정 요인
 - D. 정책 결정 이론 모형
 - (A) 개인 차원
 - a. 산출 지향
 - (a) 합리 모형
 - (b) 점증 모형
 - (c) 만족 모형
 - (d) 혼합 모형
 - (e) 최적 모형
 - b. 과정 지향 = 의제론
 - (B) 집단 차원
 - (a) Allison 모형
 - (b) 쓰레기통 모형
 - (c) 회사 모형
 - (d) 사이버네틱스 모형
 - (e) 정책딜레마 모형
 - (마) 정책 집행
 - A. 정책 집행 요인
 - B. 정책 집행 이론
 - (A) 1세대
 - (B) 2세대
 - a. 하향식 접근 방법
 - b. 상향식 접근 방법
 - c. 통합
 - (C) 3세대
 - (D) 기타
 - (바) 기획
 - (사) 정책 평가
 - A. 정책 평가 유형 B. 정책 평가 요소
 - (A) 인과 관계
 - (B) 변수
 - (C) 타당도와 신뢰도
 - a. 타당도
 - b. 신뢰도
 - C. 정책 평가 방법
 - a. 실험
 - D. 우리나라 정책 평가
 - (아) 정책 환류
 - A. 정책 변동
 - (A) 정책 변동 유형
 - (A) 정책 변동 모형
 - B. 정책 학습
 
03. 조직론
- 가. 우리나라 정부조직체계
 - (가) 담당업무별 분류
 - (나) 공식성 유무 분류
 - (다) 공공성 정도에 따른 분류
 - A. 정부기관
 - (A) 책임운영기관
 - B. 법인
 - (A) 준정부기관과 공기업
 - 나. 조직 이론의 변천
 - (가) 조직 구조론
 - A. 조직의 변수
 - B. 조직의 원리
 - C. 조직의 유형
 - (A) 고전적 분류
 - (B) 현대적 분류
 - a. Robey 조직 유형
 - b. mintzberg 조직 유형
 - c. Daft 조직 유형
 - (a) 관료제
 - Ⓐ 기계적 구조
 - Ⓑ 기능 구조
 - (b) 탈관료제
 - Ⓐ 사업 구조
 - Ⓑ 매트릭스 구조
 - Ⓒ 수평 구조
 - Ⓓ 네트워크 구조
 - Ⓔ 유기적 구조
 - d. 기타
 - (a) 학습 조직
 - (b) 견인 이론
 - (c) 연합적 이념형
 - (d) 이음매 없는 행정 조직
 - (나) 조직 행동론
 - A.동기 이론
 - (A) 내용 이론
 - (B) 과정 이론
 - (C) 기타 이론
 - B. 리더십
 - (A) 특성론
 - (B) 행태론
 - (C) 상황론
 - (D) 신속성론
 - (E) 기타 이론
 - C. 의사전달
 - D. 갈등
 - E. 권력
 - F. 문화
 - (다) 조직 환경론
 - A. 거시조직이론
 - (A) 결정론
 - a. 개별 조직
 - (a) 구조적 상황론
 - b. 조직군
 - (a) 조직군 생태론
 - (b) 조직 경제학
 - (B) 임의론
 - a. 개별 조직
 - (a) 전략적 선택론
 - (b) 자원의존 이론
 - b. 조직군
 - (a) 공동체 생태론
 - B. 혼돈 이론
 - C. 기타 이론
 - (라) 조직 관리론
 - A. 목표관리 (MBO)
 - B. 조직발전 (OD)
 - C. 총체적 품질관리 (TQM)
 - D. 성과관리 (BSC)
 - E. 전략관리 (SM)
 - F. 리엔지니어링 (RE)
 - G. 시민헌장제도
 
04. 인사행정론
- 가. 인사제도 변천과 흐름
 - (가) 연고주의
 - A. 엽관주의
 - B. 정실주의
 - (나) 실적주의
 - A. 개방형과 폐쇄형
 - (A) 개방형
 - a. 직위분류제
 - (B) 폐쇄형
 - a. 계급제
 - (a) 직업공무원제
 - (다) 대표관료제
 - 나. 인적자원관리
 - 다. 인사행정기관
 - 라. 공무원 공직 분류
 - (가) 신분보장에 따른 분류
 - A.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 (나) 계급에 따른 분류
 - A. 고위공무원단
 - 마. 임용
 - (가) 신규 임용
 - A. 시험
 - B. 임용결격사유
 - (나) 시보
 - (다) 교육훈련
 - (라) 내부임용
 - A. 수평적 내부 임용
 - B. 수직적 내부 임용
 - (A) 승진
 - a. 근무성적평정
 - (B) 승급과 강임
 - (마) 퇴직임용
 - A. 공무원 징계
 - (A) 징계 이유: 부패
 - a. 부패 종류
 - b. 부패 기준
 - (B) 징계 불복: 소청 심사
 - B. 직권면직과 직위해제
 - C. 계급 정년제
 - 바. 공무원 사기
 - 사. 공무원 보수
 - (가) 공무원 연금
 - 아. 공무원 노조
 
05. 재무행정론
- 가. 범위별 개념
 - (가) 회계
 - A. 회계 처리 방식
 - B. 회계 검사
 - (나) 예산
 - A. 예산 과정
 - (A) 예산 편성
 - (B) 예산 심의
 - (C) 예산 집행
 - a. 신축성과 통제
 - (a) 신축성
 - (b) 통제성
 - b. 조달행정
 - (D) 예산 결산
 - B. 우리나라 발표 예산
 - C. 우리나라 예산 법률
 - (A) 헌법
 - (B) 국가재정법
 - a. 조세지출예산
 - b. 남녀평등예산
 - (C) 지방재정법
 - (D) 기타
 - D. 예산 분류
 - E. 예산 기능
 - F. 예산 원칙
 - G. 예산 제도
 - (A) 품목별 예산 LIBS
 - (B) 성과주의 예산 PBS
 - (C) 계획 예산 PPBS
 - (D) 참여 예산 MBO
 - (E) 영기준 예산 ZBB
 - (F) 신성과주의 예산 NPB
 - (G) 기타
 - a. 자본 예산
 - (H) 예산제도 종합
 - H. 예산 모형
 - (다) 재정
 
06. 행정환류론
- 가. 행정 책임
 - 나. 행정 통제
 - (가) 옴부즈만
 - 다. 행정 참여
 - (가) 주민참여예산제도
 - 라. 행정 개혁
 - (가) 선진국 행정 개혁
 - (나) 우리나라 행정 개혁
 - 마. 정보화와 행정
 - (가) 전자정부
 - A. 우리나라 전자정부
 - (나) 정보화 사회
 - A. 정보
 - B. 지식
 
07. 지방자치론
- 가. 지방행정
 - (가) 지방과 국가의 관계 모형
 - (나) 지방과 국가 갈등 해결
 - 나. 지방자치
 - (가) 지방자치 방식
 - A. 지방 권한 부여 방식
 - (나) 지방자치 변천
 - A. 세계 지방자치 변천
 - B. 우리나라 지방자치 변천
 - (다) 지방자치 구성 요소
 - A. 주민
 - (A) 우리나라 주민 참여 유형
 - a. 조례 개폐 청구 제도
 - b. 주민 감사 제도
 - c. 주민 소송 제도
 - d. 주민 투표 제도
 - e. 주민 소환 제도
 - f. 주민 참여 예산 제도
 - g. 주민 자치회
 - B. 지역
 - (A) 계층구조
 - a. 일반 지방자치단체
 - (a) 일반 지방자치단체 폐치분합
 - (b) 일반 지방자치단체 개편방향
 - b. 특별 지방자치단체
 - (a) 공동처리
 - (b) 사무위탁
 - (c) 행정협의회
 - (d) 조합
 - (e) 특별지방자치단체
 - (f) 전국적 합의체
 - (g) 연합
 - (h) 통합
 - c. 계층별 갈등 해결
 - (a) 소극적 해결
 - (b) 적극적 해결
 - C. 자치권
 - (A) 입법권
 - (B) 조직권
 - (C) 행정권
 - (D) 재정권
 - a.
 - b.
 - c.
 - d.
 - e.
 
공무원 행정학 이론 정리입니다. 총론, 정책론, 조직론, 인사행정론, 재무행정론, 행정환류론, 지방자치론이 모두 수록되어 있습니다. 공무원 행정학 목차 형식으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궁금한 챕터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