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이론
비판행적학 담론행정
비판행적학 담론행정 설명 및 기출 문제입니다. 신행정학의 일부라고 볼 수 있는 이론입니다. 자주 출제되지는 않지만, 내용을 전혀 모르는 경우 틀릴 수 있으므로 확인하고 넘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회독 하시는 분들은 넘어가셔도 됩니다. 비판행정학 담론행정 설명 비판행정학 담론행정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06 국회8급 등 총2회 01. 다음 중 비판이론적 담론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 Read more
후기행태주의
후기행태주의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생각보다 난도가 높습니다. 후기행태주의를 시기로 딱 나눌 수 없기 때문이죠. 신행정론은 행정국가에 해당하지만, 현대산업사회에 속하지 않고 후기산업사회(후기행태주의)에 포함되는데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죠. 후기행태주의 설명 후기행태주의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11 지방7급 01. 포스트모더니티(postmodernity) 행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파머(D.Farmer)는 패러다임 간의 통합(paradigm integration)을 연구전략의 하나로 주장하였다. ② 상대적이고 … Read more
정책과학
정책 과학 설명 글입니다. 정책과학은 챕터 2의 내요입니다. 여기에서 배우는 정책과학은 신행정론에서의 정책과학인 정책과학 도입부만 대충 알고 넘어가도록 하겠습습니다. Lasswel과 Dror만 간단하게 살펴보세요. 정책과학 설명 정책과학은 챕터 2 대단원에서 아주 자세하게 배웁니다. 대충 Lasswel이 도입하였고, 후기 행태주의에서 Easton이 정책과학의 견인차 역할을 하여, Dror가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만 암기하고 넘어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