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무원단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다양한 내용이 출제됩니다. 개념, 역사, 포함 범위, 직위 구성 평가 방법 등이 출제됩니다. 생각보다 자주 출제되고, 암기하지 않으면 풀지 못하는 문제들도 출제됩니다.
고위공무원단 설명



고위공무원단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16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등 총 7회 출제
01.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공모직위는 공직내부에서 공무원들끼리 경쟁하는 직위입니다. |
기출 02번
2016 경찰간부 등 총 2회 출제
02.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우리나라는 2006년 노무현 정부에 도입하였습니다. |
기출 03번
2007 지방직 9급 등 총 6회 출제
03. 다음 중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지방공무원은 고위공무원단에서 제외됩니다. 하지만 부지사 중 국가공무원인 경우가 있습니다. 국가공무원인 부지사는 고위공무원단에 포함됩니다. |
기출 04번
2011 국가직 9급
04. 우리나라 국가공무원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고위공무원제도는 별정직과 일부 특정직도 대상이 됩니다. |
기출 05번
2016 국회직 8급
05. 다음 중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별정직 공무원도 고위공무원이 될 수 있습니다. |
기출 06번
2007 서울직 9급
06. 고위공무원단체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⑤
2014년 이후 정기적격 심사제는 폐지되었습니다. |
기출 07번
2016 국가직 9급 등 총 3회 출제
07.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고위공무원의 임용권은 대통령의 권한입니다. 다만 일부 권한은 장관에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
기출 08번
2018 지방직 7급
08.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 제도 운영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고위공무원은 연공서열이 아닌 능력과 성과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기출 09번
2021 지방직·서울직 9급
09.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고위공무원단은 계급이 없습니다. 직위와 직무등급으로만 운영됩니다. |
기출 10번
2017 국가직 7급
10.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② 신분 보장이 약화되었습니다. ③ 5등급에서 2등급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로 인해 계급 중심 인사관리로 회귀할 가능성이 낮아졌습니다. ④ 개방형 직위가 20%, 공모직위가 30%입니다. |
기출 11번
2016 지방직 9급
11. 국가공무원법상 우리나라 인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장관은 소속되지 아니한 공무원에 대해서도 임용제청이 가능합니다. |
기출 12번
2020 국가직 9급
12. 우리나라 인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별정직 공무원의 상한연령은 60세이며, 일반임기제 공무원으로 채용할 수 없습니다. |
기출 13번
2020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13.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지방공무원은 고위공무원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기출 14번
2014 국가직 7급
14. 우리나라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① 국가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을 지방공무원은 지방공무원법을 적용받습니다. ② 지방에는 고위공무원단제도가 시행되지 않습니다. ④ 특별지방행정기관에 소속된 공무원은 국가직 공무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