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집행 통제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통제 방안은 7가지입니다. 각 개념을 정확히 숙지 하셔야 합니다. 특히, 총사업비 제도와 예비타당성조사의 개념을 확실히 구분하세요. 두가지 개념을 구분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예산 집행 통제 설명

예산 집행 통제 O/X 문제
O/X 01번
2021 국회직 8급
01.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재정 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사업 중 지능정보화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의 대상사업이 될 수 있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재정 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사업 중 지능정보화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의 대상사업이 될 수 있습니다. | 
O/X 02번
2021 국회직 8급
02.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인 토목사업과 총사업비가 200억원 이상인 건축사업은 총사업비 관리제도의 대상 사업이 될 수 있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인 토목사업과 총사업비가 200억원 이상인 건축사업은 총사업비 관리제도의 대상 사업이 될 수 있습니다. | 
예산 집행 👆
예산 집행 통제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15 지방직 9급
01. 우리나라 예산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① 국가재정법은 120일 전까지, 헌법은 90일 전까지 제출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③ 배정과 재배정제도는 신축성 확보가 아니라 통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④ 가예산제도가 아니라 준예산제도입니다. | 
기출 02번
2011 국가직 9급 등 총 2회 출제
02. 우리나라 행정부의 예산집행 통제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이체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체는 통제가 아니라 신축적 운용을 위한 방안입니다. | 
기출 03번
2020 국가직 9급 등 총 3회 출제
03. 예산의 집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② 분기별 작성하여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③ 중앙관서의 장에게 자금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배정입니다. ④ 예산집행지침은 예산집행년도 1월 말까지 통보하여야 합니다. 예산편성지침과는 다릅니다. 예산편성지침은 예산집행 1년 전 3월 말까지입니다. | 
기출 04번
2015 경찰간부 등 총 6회 출제
04. 예비타당성 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예비타당성 조사는 기획재정부가 수행합니다. | 
기출 05번
2019 지방직 9급 등 총 3회 출제
05. 예비타당성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① 1999년에 도입되었습니다. ② 500억원 이상 사업이 대상입니다. ③ 예비타당성 조사는 기획재정부장관이 실시합니다. | 
기출 06번
2015 국가직 9급
06. 예비타당성 조사의 분석 내용을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분석으로 구분할 떄, 경제성 분석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경제성 분석에 해당하는 것은 민감도 분석입니다. 경제적 분석에는 비용편익분석, 재무성 평가, 민감도 분석이 있습니다. | 
기출 07번
2016 사회복지직 9급
07. 우리나라의 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완성에 2년 이상이 소요되는 사업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대규모사업에 대하여 각 중앙관서의 장이 그 사업규모 등을 정하여 미리 기획재정부장관과 협의하도록 하는 제도는 총사업비제도입니다. | 
기출 08번
2017 국가직 9급
08. 재정성과관리와 재정건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중기지방재정계획은 5회계연도 이상에 해당하는 중장기재정계획을 수립하여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로써, 사전에 통제하는 사전적 예산제도입니다. | 
기출 09번
2017 서울직 9급
09.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과 관련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① 총사업비관리제도는 1994년, 예비타당성제도는 1999년에 도입되었습니다. ③ 토목사업은 500억원 이상일 때 총사업비 관리대상입니다. 참고로 건축사업은 200억 이상인 경우에 총사업비 관리대상입니다. ④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는 2005년부터 실시되었습니다. | 
기출 10번
2022 지방직 9급
10. 다음은 국가재정법상 에비타당성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 기획재정부장관은 총사업비가 (가) 억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 지원 규모가 (나) 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으로서 건설공가사 포함된 사업 등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기 위하여 미리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여 국회소관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 
해설 보기
| 정답: ④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지원규모 300억원 이상인 경우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합니다. | 
기출 11번
2020 국회직 8급
11. 우리나라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① 기획재정부장관이 중앙관서의 장에게 예산을 배분하는 것은 배정입니다. ② 예산에 게상되지 않으면 예산을 전용할 수 없습니다. ③ 초·중등 교육시설의 신·증축사업이나 문화재 복원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⑤ 소속 중앙관서의 장의 의견을 받아야 합니다. | 
기출 12번
2022 지방직 7급
12. 정부예산편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예비타당성조사는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를 포함시키는 종합적 분석입니다. | 
예산 심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