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주의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엘리트주의에서는 초기의 과두제, 2080법칙, 지위 접근법, 명성 접근법, 엘리트주의, 신엘리트주의 등이 출제됩니다. 해당 챕터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신엘리트주의는 다원주의에 대한 반발이라는 점입니다.
엘리트주의 설명
다원주의 👆엘리트주의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23 지방 9급
01.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전적 엘리트이론에서 엘리트들은 다른 계층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② 밀즈(Mills)는 명성 접근법을 사용하여 엘리트들을 분석한다.
③ 달(Dahl)은 권력이 분산되어 있음을 전제로 다원주의론을 전개한다.
④ 바흐라흐와 바라츠(Bachrach & Baratz)는 무의사결정이 의제설정과정뿐만 아니라 정책결정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②
밀즈는 지위 접근법을 사용하여 엘리트들을 분석했습니다. 명성 접근법을 주장한 학자는 헌터입니다.
|
문제 02번
2012 서울 7급
02. 다음 중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책의제란 정책담당자가 공식적으로 논의하기로 결정한 정책문제를 말한다.
② 정책문제의 해결 가능성이 낮을수록 정책의제화가 용이하다.
③ 문제를 인지하는 집단의 규모가 크고 응집력이 강할수록 정책의제화가 용이하다.
④ 무의사결정론은 의제설정 과정은 다원적이지 않고 엘리트나 정치집단에 의해 조정·통제된다고 본다.
⑤ 다원론적 관점에서 볼 때 정책문제는 무수히 많은 사회 문제 등에서 무작위로 채택되는 것이다.
해설 보기
정답: ②
해결 가능성이 낮으면 정책의제화가 어렵습니다.
|
문제 03번
2012 서울 7급
03. 정책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지향 가치나 현상에 대한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공익의 과정설은 다원론과 견해를 같이하며 사회의 다양한 이익과 주장이 균형된 결과가 공익이라고 한다.
② 무의사결정론은 다원론에 대한 반발로서 엘리트의 이익과 상반되는 주장이 정책의제화하지 않음을 설명하는 신다원론의 관점이다.
③ 공익의 실체설적 관점에서는 공동체의 이익이 실현될 수 있는 정책을 가장 이상적인 정책으로 본다.
④ 공익의 과정설에서는 공익이란 법적 절차를 준수한 결과물로서 엘리트주의나 국가주의 요소가 나타나지 않는다.
⑤ 실체설의 대표적 학자로는 Plato, Rawls, Kant 등을 들 수 있다.
해설 보기
정답: ②
무의사결정론은 신다원론이 아니라 신엘리트이론입니다.
③, ④ 실체설은 엘리트주의나 국가주의, 과정설은 다원주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
문제 04번
2009 국가 선관위 9급
04. Bachrach & Baratz가 주장한 무의사결정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공익 및 엘리트의 가치나 이익에 대한 잠재력·현재적인 도전을 억제한다.
② 정치과정에 진입하려는 요구를 제한하여 정책문제화되는 것을 억제한다.
③ 기존의 규칙이나 제도적 과정을 이용한다.
④ 넓은 의미의 무의사결정은 정책의 전 과정에서 일어난다.
해설 보기
정답: ①
엘리트의 이익에 도전을 억제하는 것은 맞지만, 공익에대한 도전을 억제하지는 않습니다.
|
문제 05번
2013 국가 9급
05. 다음은 정책과정을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들 중 하나를 제시한 것이다. 그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사회의 현존 이익과 특권적 분배 상태를 변화시키려는 요구가 표현되기도 전에 질식·은폐되거나, 그러한 요구가 국가의 공식 의사결정 단계에 이르기 전에 소멸되기도 한다.
|
① 정책은 많은 이익집단의 경쟁과 타협의 산물이다.
② 정책 연구는 모든 행위자들이 이기적인 존재라는 기본 전제하에서 경제학적인 모형을 적용한다.
③ 실제 정책과정은 기득권의 이익을 수호하려는 보수적인 성격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④ 정부가 단독으로 정책을 결정·집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market) 및 시민사회 등과 함께 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③
해당 이론은 신엘리트이론이며, 신엘리트이론에서 정책과정은 기득권의 이익을 수호하려는 보수적인 성격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① 다원주의
② 공공선택론
④ 뉴거버넌스
|
문제 06번
2023 국가 9급
06. 바흐라흐(Bachrach)와 바라츠(Baratz)의 무의사결정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의사결정의 행태는 정책과정 중 정책문제 채택단계 이외에서도 일어난다.
② 기존 정치체제 내의 규범이나 절차를 동원하여 변화 요구를 봉쇄한다.
③ 정책문제화를 막기 위해 폭력과 같은 강제력을 사용하기도 한다.
④ 엘리트의 두 얼굴 중 권력행사의 어두운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다고 비판했기 때문에 신다원주의로 불린다.
해설 보기
문제 07번
2015 지방 9급
07. 무의사결정(non-decision making)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사회문제에 대한 정책과정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막는 행동이다.
② 기득권 세력이 그 권력을 이용해 기존의 이익배분 상태에 대한 변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③ 기득권 세력의 특권이나 이익 그리고 가치관이나 신념에 대한 잠재적 또는 현재적 도전을 좌절시키려는 것을 의미한다.
④ 변화를 주장하는 사람으로부터 기존에 누리는 혜택을 박탈하거나 새로운 혜택을 제시하여 매수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②
무의사결정은 변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변동 요구를 억압하는 것입니다.
|
문제 08번
2020 국가 9급 등 총 3회 출제
08. 무의사결정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치체제 내의 지배적 규범이나 절차가 강조되어 변화를 위한 주장은 통제된다고 본다.
② 엘리트들에게 안전한 이슈만이 논의되고 불리한 이슈는 거론조차 못하게 봉쇄된다고 한다.
③ 위협과 같은 폭력적 방법을 통해 특정한 이슈의 등장이 방해받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④ 조직의 주의집중력과 가용자원은 한계가 있어 일부 사회문제만이 정책의제로 선택된다고 주장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④
조직의 주의집중력과 가용자원은 한계가 원인이 되어 의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모형은 사이먼의 의사결정 모형입니다.
|
문제 09번
2019 지방 7급
09. ㄱ, ㄴ에 해당하는 권력모형을 옳게 짝 지은 것은?
· ( ㄱ )은 전국적 차원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지배구조에 초점을 맞추면서, 소수 엘리트가 강한 응집성을 가지고 정책을 결정하고 정치에 무관심한 일반대중들은 비판없이 이를 수용한다고 설명한다.
· ( ㄴ )의 정치권력에 두 얼굴(two faces of power)이 있음을 주장하는 입장으로부터 권력의 어두운 측면이 갖는 여향력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는 점을 비판받았다.
|
① ㄱ: 밀즈의 지위접근법, ㄴ: 달의 다원주의론
② ㄱ: 밀즈의 지위접근법, ㄴ: 바흐라흐와 바라츠의 무의사결정론
③ ㄱ: 헌터의 명성접근법, ㄴ: 달의 다원주의론
④ ㄱ: 헌터의 명성접근법, ㄴ: 바흐라흐와 바라츠의 무의사결정론
해설 보기
정답: ③
ㄱ. 지역적 차원은 hunter의 명성접근법입니다. 전국적 차원은 mills의 지위접근법입니다.
ㄴ. 두얼굴의 어두운 측면을 관심을 갖은 것은 바흐라흐와 바라츠의 무의사 결정론이지만, 두얼굴의 어두운 측면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고 비판을 받는 이론은 달의 다원주의론입니다.
|
문제 10번
2018 국가 7급
10. 신엘리트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엘리트들에게 안전한 이슈만을 논의하고 불리한 문제는 거론조차 못하게 봉쇄하는 무의사결정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② 모스카(Mosca)나 미헬스(Michels) 등에 의해 대표되는 고전적 엘리트이론과 달리 밀즈(Mills)의 지위접근법이나 헌터(Hunter)의 명성적 접근방법을 도입하였다.
③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권력은 두 가지 얼굴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 가운데 하나의 측면만을 고려하는 다원주의를 비판하였다.
④ 엘리트는 정책문제의 정의와 의제설정과정에서 은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실증적 분석방법론의 활용이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해설 보기
정답: ②
해당 문제를 잘 읽어보세요. 문제는 신엘리트 이론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밀즈(Mills)의 지위접근법이나 헌터(Hunter)의 명성적 접근방법은 미국 초기의 엘리트주의입니다. 신엘리트주의는 Bachrach & Baratz 무의사 결정론입니다.
|
문제 11번
2018 서울 9급 高難度
11. 정책과정에서 행위자 사이의 권력관계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헌터(Hunter)는 지역사회연구를 통해 응집력과 동료의식이 강하고 협력적인 정치 엘리트들이 지역사회를 지배한다는 엘리트론을 주장한다.
② 무의사결정론(non-decision making)은 권력을 가진 집단은 자신들에게 불리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특정 이슈들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지 못하도록 봉쇄한다고 설명한다.
③ 다원론을 전개한 다알(Dahl)은 New Haven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정책결정을 담당하는 엘리트가 분야별로 다른 형태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④ 신다원론에서는 집단 간 경쟁의 중요성은 여전히 인정하면서 집단 간 대체적 동등성의 개념을 수정하여 특정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욱 강력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다.
해설 보기
정답: ①
정치 엘리트가 아니라 기업엘리트라고 해야 맞습니다.
|
문제 12번
2012 국가 9급
12. 정책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콥(R.W.Cobb)은 주도집단에 따라 정책의제설정 유형을 외부주도형, 동원형, 내부접근형으로 분류하였다.
② 바흐라흐와 바라츠는 신다원론 관점에서 정치권력의 두개의 얼굴 중 하나인 무의사결정을 주장하였다.
③ 킹던은 문제, 정책, 정치 등 세 가지 흐름의 결합에 의하여 정책의제가 설정된다고 주장하였다.
④ 달(R. Dahl)은 다원론(pluralism) 관점에서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특정한 어느 개인이나 집단도 주도권을 행사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해설 보기
정답: ②
바흐라흐와 바라츠의 무의사결정론은 신다원론이 아니라 신엘리트론입니다.
|
엘리트주의 설명 및 기출 문제 글 마치겠습니다.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행정학 이론
정책 의제 설정에 관한 모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