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행정론은 환경이 행정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이 문장은 맞은 문장일까요? 틀린 문장일까요? 해석에 따라 다르겠지만 2022년 지방7급 행정학 문제에서는 맞는 지문으로 처리되었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죠.
발전행정론 환경과 행정
엄밀히 따지면 발전행정론에서 행정이 독립변수이고 환경이 종속변수이기 때문에 환경이 행정에 영향을 줄 수 없습니다. 하지만 2022년 지방7급에서는 맞는 지문으로 처리 되었는데요. 그 이유는 뭘까요? 해당 문제는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였고, 더 확실히 틀린 지문이 있었고, 위 문장은 해석에 따라서 어느 정도 맞는 내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옳은 지문으로 보는 쪽의 설명과 틀린 지문으로 보는 쪽의 설명 모두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옳은 지문으로 보는 쪽
복잡한 상호작용 인정
비록 행정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실제로는 행정과 환경 사이에 복잡한 상호작용이 존재합니다. 환경적 조건과 문제들은 행정의 정책 결정과정에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경적 요소들은 행정의 효율성과 정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행정의 반응성
또한, 행정은 사회적, 경제적, 자연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정책을 조정하고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반응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는 행정이 환경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아 이에 적응하고 대응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발전행정론에서 행정과 환경 사이의 관계는 단방향적이기보다는 상호작용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록 행정이 환경에 대한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적 역할을 하지만, 환경적 조건과 변화는 행정의 정책 결정과 실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발전행정론이 다루어야 할 중요한 영역 중 하나입니다.
틀린 지문으로 보는 쪽
행정의 주체성
발전행정론에서 행정은 환경을 변화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행정은 개발도상국에서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주체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행정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지, 환경이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닙니다.
행정의 독립적 결정과 실행
행정이 환경에 대한 주체적 개입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환경적 조건들은 행정의 결정과 실행에 제약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행정의 목표 달성을 위한 대상으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행정은 경제개발, 교육개선, 보건시설 확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생태론, 체제론, 비교행정론과 발전행정론 차이
생태론, 체제론, 비교행정론은 외부 환경을 독립변수로 보고, 이 환경이 조직의 구조와 전략(종속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합니다. 조직의 적응과 변화가 주요 관심사입니다.
이와 달리 발전행정론은 행정의 활동을 독립변수로 보고, 이러한 활동이 사회적, 경제적 발전(종속변수)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행정의 주도적인 역할과 그로 인한 발전의 성과가 중심입니다.
지금 까지 “발전행정론은 환경이 행정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이 문장이 맞는 지 틀린 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질문 있으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세요. 답변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