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보수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가장 많이 출제 되는 것은 직무급과 직능급을 구분하는 문제입니다. 다음으로 총액인건비 제도가 단독 문제로 많이 출제 됩니다. 생각보다 자주 출제되는 영역입니다. 꼼꼼하게 공부하세요.
공무원 보수 설명


공무원 보수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16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1. 공무원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공무원의 보수는 민간의 임금수준과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
기출 02번
2016 사회복지직 9급 등 총 6회 출제
02. 공무원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직무의 난이도와 책임에 따라 결정되는 보수는 직무급입니다. |
기출 03번
2021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3. 공무원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동일 직무에 대한 동일 보수 원칙에 근거한 것은 직무급입니다. |
기출 04번
2022 지방직 9급
04. 공무원의 보수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연공급은 전문기술인력 확보에 불리합니다. |
기출 05번
2011 지방직 7급
05. 공무원 보수제도로서 연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① 연봉제는 팀정신을 저해할 소지가 있습니다. ③ 우리나라는 1년 연봉을 12개월로 나누어 매월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④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 연봉제는 직무분석보다 직무평가가 더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
기출 06번
2017 지방직 9급
06. 공무원보수규정상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에 적용되는 직무성과급적 연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고위 공무원단 모두에게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대통령경호처 소속직원 등 일부 별정직 공무원은 호봉제를 적용합니다. |
기출 07번
2022 군무원 7급
07. 다음 중 ‘직무성과급적 연봉제’의 적용을 받는 공무원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직무성과급정 연봉제를 적용받는 공무원은 고위공무원단입니다. |
기출 08번
2016 지방직 7급 등 총 7회 출제
08. 공무원 보수제도 중 연봉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고정급적 연봉제는 정무직에게 적용되는 연봉제입니다. 이 연봉제는 성과연봉 없이 기본연봉만 지급 합니다. |
기출 09번
2015 교행직 9급
09. 우리나라 공무원 보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① 공무원 보수는 정치적 통제가 강하여, 민간기업보다 경직성이 강합니다. ③ 생활급 중심 보수체계는 공정성이 낮습니다. ④ 공무원은 노동삼권 중 단체행동권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기출 10번
2018 경찰간부
10. 공무원 보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직무의 난이도와 책임에 따라 결정되는 보수는 직무급입니다. |
기출 11번
2009 지방직 7급
11. 공무원 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1차적으로 대외적 비교성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대내적 상대성을 가미하고 있습니다. |
기출 12번
2022 경정승진
12. 우리나라의 예산성과금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예산성과금 지급 대상은 조직도 포함됩니다. |
기출 13번
2011 울산전환특채
13. 예산의 집행방법 또는 제도 개선 등으로 인하여 수입이 증대되거나 절양된 예산을 기여한 자에게 지급하거나 다른 예산사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
해설 보기
정답: ②
예산의 집행방법 또는 제도 개선 등으로 인하여 수입이 증대되거나 절양된 예산을 기여한 자에게 지급하거나 다른 예산사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는 예산성과금입니다. |
기출 14번
2014 국회직 8급
14. 다음 중 우리나라의 총액인건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자율성이 인정되는 단위는 과 단위입니다. |
기출 15번
2010 국가직 7급
15.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도입된 ‘총액인건비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해당 내용은 총액인건비제도 도입 전 표준정원제에 의한 총정원승인제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출 16번
2020 국가직 7급
16. 총액인건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총액인건비제도는 2007년 노무현 정부에 도입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