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노조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노조는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이 있습니다. 이 개념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공무원 노조 내용도 자주 출제됩니다. 우리나라 공무원 노조는 빠짐없이 모두 암기하세요.
공무원 노조 설명


공무원 노조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04 국회직 8급
01. 최근 공무원단체의 존재 여부 및 그 활동 범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다음 설명 중 공무원단체 설립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⑤
공무원단체 설립은 공공부문 인력관리의 탄력성을 저하시키고 관리층의 인사권을 제약합니다. |
기출 02번
2013 국가직 9급
02. 공무원 단체활동 제한론의 근거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공무원 단체는 공직 내 의사소통을 촉진시킵니다. |
기출 03번
2017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3.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상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① 인사 및 보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가입이 불가합니다. ② 보수를 지급할 수 없습니다. ③ 정치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
기출 04번
2016 국가직 7급 등 총 2회 출제
04.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해당하지 않습니다. 교육공무원은 교원의 노동조합 설림 및 운영 등에 과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공무원입니다. |
기출 05번
2012 경찰간부 등 총 2회 출제
05.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30일 이내 조정을 마쳐야 합니다. |
기출 06번
2011 지방직 7급
06. 현행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상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2021.7.6. 개정으로 모든 일반직과 별정직, 특정직이 노조 가입이 가능합니다. |
기출 07번
2017 국가직 7급
07.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상 단체교섭 대상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위 선지 내용 중 조합원의 보수에 관한 사항만 단체교섭 대상입니다. |
기출 08번
2010 국가직 9급
08. 우리나라의 현행 인사행정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고용노동부장관이 아니라 임용권자의 동의를 받으면 조합 업무 전임이 가능합니다. |
기출 09번
2020 국회직 8급
09.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우리나라에서 노동조합 활동을 전담하는 전임자는 인정됩니다. |
기출 10번
2018 국회직 9급 등 총 3회 출제
10. 공무원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쟁의 행위를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② 2021년 이후 6급 이하 별정직도 가입 대상에 포함됩니다. ③ 단체교섭권은 허용됩니다. |
기출 11번
2022 국회직 8급
11.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① 정치활동이 금지됩니다. ② 5급 이하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④ 소방공무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⑤ 교정 및 수사에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은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기출 12번
2021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12.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급수와 관계 없이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지휘·감독· 총괄 공무원, 보수·인사 및 노동관계 조정·감독 공무원, 교정·수사 등 공공안녕·국가안보 담당공무원은 가입이 불가합니다. ② 단체행동권은 행사 할 수 없습니다. ③ 실적주의를 약화시킨다는 의견과 강화시킨다는 의견이 대립합니다. 어떤 의견이더라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은 틀렸습니다. |
기출 13번
2016 국회직 9급
13. 다음 중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현대에는 노조가 실적제를 강화시킨다고 봅니다. |
기출 14번
2022 경찰간부
14. 공무원직장협의회 설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두 개 이상 기간단위에 걸쳐 하나의 협의회를 설립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다만, 2022년 10월 26일 이후 협의회 간 ㅎ연합협의회를 설립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