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지방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22년 지방직 한국사 01.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날 소정방이 부총관 김인문 등과 함께 기벌포에 도착하여 백제 군사와 마주쳤다. … (중략) … 소정방이 신라군이 늦게 왔다는 이유로 군문에서 신라 독군 김문영의 목을 베고자 하니, 그가 군사들 앞에 나아가 “황산 전투를 보지도 않고 늦게 온 것을 이유로 우리를 죄주려 하는구나. 죄도 없이 치욕을 … Read more
2022년 지방직 한국사 01.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날 소정방이 부총관 김인문 등과 함께 기벌포에 도착하여 백제 군사와 마주쳤다. … (중략) … 소정방이 신라군이 늦게 왔다는 이유로 군문에서 신라 독군 김문영의 목을 베고자 하니, 그가 군사들 앞에 나아가 “황산 전투를 보지도 않고 늦게 온 것을 이유로 우리를 죄주려 하는구나. 죄도 없이 치욕을 … Read more
2022년 국가직 한국사 01. 다음 풍습이 있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 하였다. ○ 목곽 입구에는 죽은 자가 먹을 양식으로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놓기도 하였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①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② 제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 Read more
2021년 지방직 한국사 01. 다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은력(殷曆) 정월에 지내는 제천행사는 나라에서 여는 대회로 날마다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이를 영고라 하였다. 이때 형옥을 중단하고 죄수를 풀어주었다. ○ 국내에 있을 때의 의복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외국에 나갈 때는 비단옷․수 놓은 … Read more
2021년 국가직 한국사 01. 다음 시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은?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울사 이 내 몸은 뉘와 더불어 돌아가라 ①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②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③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④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였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③ 제시문은 고구려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이다. ③ 고구려는 유리왕 때 … Read more
2020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다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큰 산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평원과 연못이 없다. 사람들이 계곡을 따라 사는데 골짜기 물을 식수로 마셨다. 좋은 농경지가 없어서 부지런히 농사를 지어도 배를 채우기가 부족하다. 사람들의 성품은 흉악하고 급하며 노략질하기를 좋아하였다. - 삼국지 - ① 민며느리제라는 독특한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② 왕 아래에 … Read more
2020년 지방직 한국사 01.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이찬 이사부가 왕에게 “국사라는 것은 임금과 신하들의 선악을 기록하여, 좋고 나쁜 것을 만대 후손들에게 보여 주는 것입니다. 이를 책으로 편찬해 놓지 않는다면 후손들이 무엇을 보고 알겠습니까?”라고 아뢰었다. 왕이 깊이 동감하고 대아찬 거칠부 등에게 명하여 선비들을 널리 모아 그들로 하여금 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 … Read more
2020년 국가직 한국사 01. (가) 시기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35년 두만강 가의 함경북도 종성군 동관진에서 한반도 최초로 ( 가 ) 시대 유물인 석기와 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일본에서는 ( 가 ) 시대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①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② 넓적한 돌 갈판에 옥수수를 갈아서 먹었다. ③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 Read more
2019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주도 고산리 유적은 ___㉠___ 시대의 연대를 앞당길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여기에서 출토된 삼각형 모양의 돌화살촉과 ‘이른 민무늬토기’를 분석하여 ___㉠___시대가 기원전 8,000년경부터 시작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출토된 토기는 일명 ‘고산리식 토기’라고 불린다 ① 고인돌에 간돌검을 부장하였다. ②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옷감을 만들었다. ③ 명도전, … Read more
2019년 지방직 한국사 01.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그 나라의 혼인풍속에 여자의 나이가 열 살이 되면 서로 혼인을 약속하고, 신랑 집에서는 (그 여자를) 맞이하여 장성하도록 길러 아내로 삼는다. (여자가) 성인이 되면 다시 친정으로 돌아가게 한다. 여자의 친정에서는 돈을 요구하는데, (신랑 집에서) 돈을 지불한 후 다시 신랑 집으로 돌아온다. (나) 은력(殷曆) 정월에 … Read more
2019년 국가직 한국사 01.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천 전곡리에서는 사냥도구인 주먹도끼가 출토되었다. ② 창원 다호리에서는 문자를 적는 붓이 출토되었다. ③ 강화 부근리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④ 서울 암사동에서는 곡물을 담는 빗살무늬토기가 나왔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③ 강화 부근리는 탁자식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유적지로, 고창 · 화순과 함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