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

2019년 지방직 국어 01. 다음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립쌍을 이루는 단어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이루고 있다. ① 성공(成功):실패(失敗) ② 시상(施賞):수상(受賞) ③ 판매(販賣):구매(購買 ④ 공격(攻擊):방어(防禦)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제시문은 서로 맞선 방향에 서서 상대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의미상 대립을 이루는 단어들에 관한 내용이다. ① ‘성공(成功)’은 ‘목적하는 바를 이룸’을 뜻하고, ‘실패(失敗)’는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 Read more

2019년 국가직 국어 기출 풀기

2019년 국가직 국어 01. 밑줄 친 단어의 품사를 같은 것끼리 묶은 것은? • 쌍둥이도 성격이 ㉠다른 법이다. • 날씨가 건조하면 나무가 잘 ㉡크지 못한다. • 남부 지방에 홍수가 ㉢나서 많은 수재민이 생겼다. • 그 사람이 농담은 하지만 ㉣허튼 말은 하지 않는다. • 상대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 진정한 사랑이 ㉤아닐까? ① ㉠, ㉡ ② ㉡, ㉢ … Read more

2018년 지방직 7급 국어 기출 풀기

2018년 지방직 7급 국어 01.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① 부모와 자식간에도 예의는 지켜야 한다. ② 김 양의 할머니는 안동 권씨라고 합니다. ③ 내일이 이 충무공 탄신 500돌이라고 합니다. ④ 이번 여름에는 카리브 해로 휴가를 가기로 했어. 1번 해설 보기 정답: ② · 결혼하지 않은 여자의 성(姓)이나 성명, 이름 뒤에 쓰여 아랫사람을 조금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 Read more

2018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

2018년 지방직 국어 01.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은? 지도 위에 손가락을 짚어 가며 여행 계획을 설명하였다. ① 이마를 짚어 보니 열이 있었다. ② 그는 두 손으로 땅을 짚어야 했다. ③ 그들은 속을 짚어낼 수가 없는 사람들이었다. ④ 시험 문제를 짚어 주었는데도 성적이 좋지 않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④ 의 ‘짚어’는 ‘여럿 … Read more

2018년 국가직 국어 기출 풀기

2018년 국가직 국어 01. 로마자 표기법에 관한 다음 규정이 적용된 것은?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① 독도: Dok-do ② 반구대: Ban-gudae ③ 독립문: Dok-rip-mun ④ 인왕리: Inwang-ri 1번 해설 보기 정답: ② ‘반구대’를 붙임표 없이 ‘Bangudae’로 쓸 경우 ‘반구대(Bangudae)’로 읽을 수도 있지만, ‘방우대(Bangudae)’로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발음상의 … Read more

2017년 지방직 7급 국어 기출 풀기

2017년 지방직 7급 국어 01.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지 않은 것은? ① 너 말 한번 잘 했다. ② 값이 얼만지 한번 물어보세요. ③ 우리는 겨우 일주일에 한번밖에 못 만난다. ④ 한번 엎지른 물은 다시 주워 담지 못한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정답: ③ ‘우리는 겨우 일주일에 한번밖에 못 만난다.’라는 문장에서 ‘한번’을 ‘두 번’으로 … Read more

2017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

2017년 지방직 국어 01. 밑줄 친 말이 어법에 맞는 것은? ① 바닷물이 퍼레서 무서운 느낌이 든다. ② 또아리 튼 뱀은 쳐다보지 마라. ③ 머릿말에 쓸 내용을 생각해 둬라. ④ 문을 잘 잠궈야 한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퍼레서: ‘퍼렇다’가 기본형이다. ‘퍼렇다’는 어간과 어미가 모두 바뀌는 ‘ㅎ’ 불규칙 용언이다. 즉 ‘퍼렇-+-어서→퍼레서’과 같이 활용하므로 ‘퍼레서’의 표기는 … Read more

2017년 국가직 국어 기출 풀기

2017년 국가직 국어 01. 다음 시가의 전개 방식으로 옳은 것은?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 ① 요구-위협-환기-조건 ② 환기-요구-조건-위협 ③ 위협-조건-환기-요구 ④ 조건-요구-위협-환기 1번 해설 보기 정답: ② 즉 제시된 는 ‘거북’의 이름을 부르고(‘환기’) 난 후에, 머리를 내놓으라고 ‘요구’를 하고 있다. 그러면서 ‘내놓지 않으면’이란 ‘조건’을 내걸면서, ‘구워 먹겠다.’고 ‘위협’을 하고 있다. 따라서 시가의 전개 방식은 … Read more

2016년 지방직 7급 국어 기출 풀기

2016년 지방직 7급 국어 01. 띄어쓰기가 잘못된 문장은? ① 이제 봄이 옵니다그려. ② 집에서처럼 그렇게 해야겠지. ③ 사과하고 배하고는 과일입니다. ④ 나가면서 까지도 말썽을 피우고 있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④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선택지 모두 조사가 사용된 문장이다. ④번에서 ‘까지’는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되는 범위의 끝임을 나타내거나, 이미 어떤 … Read more

2016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

2016년 지방직 국어 기출 01. 비통사적 합성어로만 묶인 것은? ① 열쇠, 새빨갛다 ② 덮밥, 짙푸르다 ③ 감발, 돌아가다 ④ 젊은이, 가로막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합성어는 어근(실질형태소)과 어근(실질형태소)이 합쳐진 말이다. 합성의 방법이 국어의 통사 구조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뉜다. 단어의 형성 방법이 국어의 통사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합성어를 ‘비통사적 합성어(①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