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지방직 7급 한국사 기출 풀기

2018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다음 사건이 발생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우산국은 명주의 동쪽 바다에 있는 섬으로, 울릉도라고도 한다. 땅은 사방 백 리인데, 지세가 험한 것을 믿고 복종하지 않았다. 이찬 이사부가 하슬라주 군주가 되어, ‘우산국 사람은 어리석고도 사나워서 힘으로 다루기는 어렵고 계책으로 복종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나무 사자[木偶師子]를 많이 만들어 … Read more

2018년 지방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18년 지방직 한국사 01. 다음은 각 유물과 그것이 사용되던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슴베찌르개 – 벼농사를 짓기 시작하였고 나무로 만든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ㄴ. 붉은 간토기 – 거친무늬거울을 사용하여 제사를 지내거나 의식을 거행하였다. ㄷ. 반달 돌칼 – 농사를 짓기 시작했지만 아직 지배와 피지배 관계는 발생하지 않았다. ㄹ. 눌러찍기무늬 토기 – … Read more

2018년 국가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18년 국가직 한국사 01. 시대별 지방 행정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통일신라 – 촌의 행정은 촌주가 담당하였다. ② 발해 – 전국 330여 개의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③ 고려 – 촌락 지배 방식으로 면리제가 확립되었다. ④ 조선 – 향리 통제를 위하여 사심관을 파견하였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① 통일신라의 촌에는 지방의 토착 … Read more

2017년 지방직 7급 한국사 기출 풀기

2017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 )은 한국 민족사의 주체적 발전과 민족 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면서, 민조 정신을 중시하고 이를 고취 시켜 독립을 이룩하려는 의도를 강하게 드러냈다. 박은식, 신채호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 ㉡ )은 사회구성체 발전 단계론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하면서 역사 발전의 원동력을 민중에게 구했으며, 우리 역사를 유물사관의 방법론에 … Read more

2017년 지방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17년 지방직 한국사 01. 한반도 선사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주먹도끼와 슴베찌르개 등이 사용되었다. ② 신석기시대 집터는 대부분 움집으로 바닥은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다. ③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조개류를 많이 먹었으며, 때로는 장식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④ 청동기시대의 전형적인 유물로는 비파형동검․붉은간토기․반달돌칼․홈자귀 등이 있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① 슴베찌르개는 구석기 후기(중석기) 02. … Read more

2017년 국가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17년 국가직 한국사 01. ㉠과 ㉡ 두 인물의 공통된 신분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 은(는) 신문왕에게 화왕계를 통하여 조언하였다. ○ ㉡ 은(는) 진성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올렸다. ① 왕이 될 수 있는 신분이었다. ② 자색(紫色)의 공복을 착용하였다. ③ 중앙 관부의 최고 책임자를 독점하였다. ④ 관등 승진에서 중위제(重位制)를 적용받았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④ 제시된 … Read more

2016년 지방직 7급 한국사 기출 풀기

2016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신석기시대의 사회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독무덤과 널무덤이 유행하였다. ② 방추차를 이용하여 옷감을 짜서 입었다. ③ 이른민무늬토기, 덧무늬토기 등을 사용하였다. ④ 영혼숭배와 조상숭배가 나타났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독무덤과 널무덤은 신석기가 아니라 초기 철기 시기의 무덤이다. ④ 02.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에 백제왕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진(晉)나라 … Read more

2016년 지방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16년 지방직 한국사 01. 밑줄 친 ‘이 토기’가 주로 사용되었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토기는 팽이처럼 밑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표면에 빗살 처럼 생긴 무늬가 새겨져 있다. 곡식을 담는 데 많이 이용된 이 토기는 전국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대표적 유적지는 서울 암사동, 봉산 지탑리 등이다. ① 농경과 정착 생활이 이루어졌다. ②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을 만들었다. … Read more

2016년 국가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16년 국가직 한국사 01. 밑줄 친 ‘왕’ 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 왕 재위 2년에 전진 국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며 불상과 경문을 전해왔 다. (이에 우리) 왕께서 사신을 보내 사례하며 토산물을 보냈다. ○ 왕 재위 5년에 비로소 초문사를 창건하고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또 이불란사를 창 건하고 아도를 머물게 하였다. 이것이 해동 불법(佛法)의 시작이었다. … Read more

2015년 지방직 7급 한국사 기출 풀기

2015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릉과 넓은 못이 많아서 동이 지역 중에서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다. 토 질은 오곡을 가꾸기에는 알맞지만, 과일은 생산되지 않았다. 사람들 체격 이 매우 크고, 성품이 강직하고 용맹하며, 근엄하고 후덕하여 다른 나라 를 노략질하지 않았다. ① 읍군, 삼로 등의 관직이 있어서 하호를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