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

2016년 지방직 국어 기출 01. 비통사적 합성어로만 묶인 것은? ① 열쇠, 새빨갛다 ② 덮밥, 짙푸르다 ③ 감발, 돌아가다 ④ 젊은이, 가로막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합성어는 어근(실질형태소)과 어근(실질형태소)이 합쳐진 말이다. 합성의 방법이 국어의 통사 구조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뉜다. 단어의 형성 방법이 국어의 통사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합성어를 ‘비통사적 합성어(① … 더 읽기

2016년 국가직 국어 기출 풀기

2016년 국가직 국어 01. 밑줄 친 부분에 가장 적절한 것은? ① flash-플래시 ② shrimp-쉬림프 ③ presentation-프레젠테이션 ④ Newton-뉴턴 1번 해설 보기 정답: ② 쉬림프→슈림프: 자음 앞의 [ʃ]]는 ‘슈’로 표기한다. 따라서 ‘새우’를 뜻하는 ‘shrimp[ʃrɪmp]’ 는 ‘슈림프’로 표기해야 한다. ① 어말의 [ʃ]]는 ‘시’로 적기 때문에, ‘flash[flæʃ]’를 ‘플래시’로 표기한 것은 옳다. ③ ‘presentation[pre-]’와 같은 발음을 기준으로 하여 ‘프레젠테이션’으로 … 더 읽기

2015년 지방직 7급 국어 기출 풀기

2015년 지방직 7급 국어 01. 밑줄 친 부분 중 음운의 탈락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① 지난해 새로 집을 지었다. ② 잘 우는 남자는 매력이 없다. ③ 그는 사과문을 써서 벽에 붙였다. ④ 국이 뜨겁고 매워서 먹지 못하겠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④ ‘매워서’의 기본형은 ‘맵다’이다 ‘맵다’의 어근 ‘맵’이 모음 어미 ‘어서’와 결합하여 매워서 가 … 더 읽기

2015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

2015년 지방직 국어 01. 나머지 셋과 의미가 다른 사자성어는? ① 갑남을녀(甲男乙女) ② 초동급부(樵童汲婦) ③ 장삼이사(張三李四) ④ 부창부수(夫唱婦隨) 1번 해설 보기 정답: ④ ① 갑남을녀(甲男乙女[갑옷 갑, 사내 남, 새 을, 여자 녀]) :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② 초동급부(樵童汲婦[나무할 초, 아이 동, (물)길을 급, 며느리 부])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 더 읽기

2015년 국가직 국어 기출 풀기

2015년 국가직 국어 01. 어법에 맞게 쓰인 것은? ① 내일 야유회 간데요? ②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대. ③ 연예인을 보니 그렇게 좋던 ④ 제가 직접 봤는데 너무 크대요.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해설 내용 ① ② ③ ④ 02.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① 그 사고는 여러 가지 규칙을 도외시 하였기 때문이야. ② 사실상 여자 … 더 읽기

2022년 국가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22년 국가직 한국사 01. 다음 풍습이 있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 하였다. ○ 목곽 입구에는 죽은 자가 먹을 양식으로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놓기도 하였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①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② 제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 더 읽기

2021년 지방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21년 지방직 한국사 01. 다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은력(殷曆) 정월에 지내는 제천행사는 나라에서 여는 대회로 날마다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이를 영고라 하였다. 이때 형옥을 중단하고 죄수를 풀어주었다. ○ 국내에 있을 때의 의복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외국에 나갈 때는 비단옷․수 놓은 … 더 읽기

2021년 국가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21년 국가직 한국사 01. 다음 시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은?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울사 이 내 몸은 뉘와 더불어 돌아가라 ①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②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③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④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였다 1번 해설 보기 정답: ③ 제시문은 고구려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이다. ③ 고구려는 유리왕 때 … 더 읽기

2020년 지방직 7급 한국사 기출 풀기

2020년 지방직 7급 한국사 01. 다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큰 산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평원과 연못이 없다. 사람들이 계곡을 따라 사는데 골짜기 물을 식수로 마셨다. 좋은 농경지가 없어서 부지런히 농사를 지어도 배를 채우기가 부족하다. 사람들의 성품은 흉악하고 급하며 노략질하기를 좋아하였다. - 삼국지 - ① 민며느리제라는 독특한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② 왕 아래에 … 더 읽기

2020년 지방직 한국사 기출 풀기

2020년 지방직 한국사 01.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이찬 이사부가 왕에게 “국사라는 것은 임금과 신하들의 선악을 기록하여, 좋고 나쁜 것을 만대 후손들에게 보여 주는 것입니다. 이를 책으로 편찬해 놓지 않는다면 후손들이 무엇을 보고 알겠습니까?”라고 아뢰었다. 왕이 깊이 동감하고 대아찬 거칠부 등에게 명하여 선비들을 널리 모아 그들로 하여금 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