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지방직 국어
2019년 지방직 국어 기출 풀기입니다. 정답을 체크하시고, 하단에 있는 채점 하기 버튼 누르시면 자동 채점됩니다.
01. 다음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대립쌍을 이루는 단어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이루고 있다. |
1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제시문은 서로 맞선 방향에 서서 상대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의미상 대립을 이루는 단어들에 관한 내용이다. ① ‘성공(成功)’은 ‘목적하는 바를 이룸’을 뜻하고, ‘실패(失敗)’는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그르침’ 을 뜻하므로 어떤 방향성을 이루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나머지 ②・③・④는 서로 맞선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② •시상(施賞): 상장이나 상품, 상금 따위를 줌. •수상(受賞): 상을 받음. ③ •판매(販賣): 상품 따위를 팖. •구매(購買): 물건 따위를 사들임. ④ •공격(攻擊): 나아가 적을 침. / 남을 비난하거나 반대하여 나섬. / 운동 경기나 오락 따위에서 상대편을 이기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 •방어(防禦): 상대편의 공격을 막음. |
02. 토론에서 사회자가 하는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번 해설 보기
정답: ②
말하기 중 토론에 대한 지식을 묻는 문제이다. 토론은 어떤 의견(논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의 의견 대립이 뚜렷한 사람들이 논리적으로 상대방을 설득하는 말하기의 방식이다. 사회자는 토론을 공정하게 진행하는 역할을 하는데, 토론을 시작할 때 논제를 제시하고, 토론 순서와 규칙을 설명한다. 따라서 토론자들에게 토론의 전반적인 방향과 유의점에 대해 안내한다는 ②가 사회자의 역할로 가장 적절하다. ① 토론을 시작할 때 사회자는 토론의 논제(주제)를 제시하고, 찬성 측과 반대 측이 논제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도록 발언권을 주며 토론을 진행을 시작한다. 따라서 사회자가 토론 시작 시 토론자들에게 논제의 타당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③ 토론의 사회자는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주장에 대한 청중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는 있지만, 대안을 제시하여 쟁점을 약화시키지는 않는다. ④ 사회자는 토론을 공정하게 진행하는 역할을 하므로 토론자들의 견해를 요약, 정리할 수는 있지만, 비판하는 견해를 개진하지는 않는다. |
03. 다음 글의 글쓰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멕시코의 환경 운동가로 유명한 가브리엘 과드리는 1960년대 이후 중앙아메리카 숲의 25% 이상이 목초지 조성을 위해 벌채되었으며 1970년대 말에는 중앙아메리카 전체 농토의 2/3가 축산 단지로 점유되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1987년 이후로도 멕시코에만 1,497만 3,900ha의 열대 우림이 파괴되었는데, 이렇게 중앙아메리카의 열대림을 희생하면서까지 생산된 소고기는 주로 유럽과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그렇지만 이 소고기들은 지방분이 적고 미국인의 입맛에 그다지 맞지 않아 대부분 햄버거 재료로 사용되었다. |
3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제시문에서는 축산업을 위해 숲을 점점 더 많이 파괴하는 중앙아메리카의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그 근거로 ‘1960 년대 이후 중앙아메리카 숲의 25% 이상이 목초지 조성을 위해 벌채’, ‘1970년대 말 중앙아메리카 전체 농토의 2/3가 축산 단지로 점유’, 소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1987년 이후 멕시코에만 1,497만 3,900ha 열대 우림 파괴’ 등의 통계 수치 자료를 들고 있다. 따라서 통계 수치를 활용하여 논거의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는 ①이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②・③ 이론적 근거의 나열이나 전문 용어의 뜻풀이는 제시문에 나타나지 않는다. ④ 중앙아메리카의 환경 파괴(숲과 열대 우림의 파괴)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지만, 그로 인한 예측할 수 없는 결과의 나열은 제시문에 나타나지 않는다. |
04. 밑줄 친 부분이 어법에 맞는 것은?
4번 해설 보기
정답: ④
사잇소리의 표기에 관한 문제이다. ‘인사말(人事말)’은 사잇소리가 나지 않는 단어이므로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나머지 ①・②・③은 모두 사이시옷을 표기하는 단어들이다. ① 노래말(×) → 노랫말(○) ② 순대국(×) → 순댓국(○) ③ 하교길(×) → 하굣길(下校길)(○) |
05. (가)의 관점에서 (나)를 감상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가) 반영론은 문학 작품이 사회를 반영하여 현실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라는 관점을 취한 비평적 입장이다. (나)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박목월, 〈나그네〉 |
5번 해설 보기
정답: ②
(나) 박목월의 〈나그네〉는 나그네의 모습을 통해 현실에 얽매이지 않는 달관의 경지를 형상화한 시이다. ②는 (나)가 일제 강점기에 창작된 작품, 즉 일제 강점기의 현실을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나)를 감상하고 있다. 즉 “구름에 달 가듯이” 유유자적한 나그네의 모습이 일제 강점기로 인한 고통스러운 삶의 단면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것이다. 따라서 ②가 “문학 작품이 사회를 반영하여 현실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한다는 (가) ‘반영론적 관점’의 감상으로 가장 적절하다. ①・③・④ 작품 자체의 형식과 의미에 주목한 내재적 관점의 감상이다. |
06.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책을 벗입니다. 먼 곳에서 찾아온 반가운 벗입니다. 배움과 벗에 관한 이야기는 《논어》의 첫 구절에도 있습니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어찌 기쁘지 않으랴.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니 어찌 즐겁지 않으랴’가 그런 뜻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인생의 가장 빛나는 시절을 수험 공부로 보내야 하는 학생들에게 독서는 결코 반가운 벗이 아닙니다. 가능하면 빨리 헤어지고 싶은 불행한 만남일 뿐입니다. 밑줄 그어 암기해야 하는 독서는 진정한 의미의 독서가 못 됩니다. 독서는 모름지기 자신을 열고, 자신을 확장하고, 자신을 뛰어넘는 비약이어야 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독서는 삼독(三讀)입니다. 먼저 글을 읽고 다음으로 그 글을 집필한 필자를 읽어야 합니다. 그 글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뿐만 아니라 필자가 어떤 시대, 어떤 사회에 발 딛고 있는지를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것을 읽고 있는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처지와 우리 시대의 문맥을 깨달아야 합니다. |
6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첫 번째 단락에서는 책을 반가운 벗에 비유하여 독서를 통해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수험 때문에 책을 암기해야 하는 오늘날의 독서에서는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없으며 ‘진정한 의미의 독서’가 아니라고 비판하고 있다. 마지막 단락에서는 글을 읽고 필자(필자의 시대와 사회)를 이해한 후, 이를 바탕으로 독자 자신의 처지와 시대를 이해하는 것이 진정한 독서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글쓴이는 글에 나타난 필자(타인)의 경험이나 생각 등을 독자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진정한 독서라고 말하고 있으므로 ①이 가장 적절하다. ②・④ 독서를 통해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책을 반가운 벗에 비유한 것이지, 벗과의 독서나 친밀한 교우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한 것은 아니다. ③ 제시문에 나타나지 않는 내용이다. |
07.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7번 해설 보기
정답: ②
해옛∨책(○): ‘지나간 때의’를 뜻하는 관형사 ‘옛’과 명사 ‘책’은 각각의 단어로, 구 구성이므로 띄어 써야 한다. ① 그∨중에(×) → 그중에(○):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를 뜻하는 ‘그중’은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③ 한∨번(×) → 한번(○): ‘한번’이 ‘기회 있는 어떤 때에’를 의미할 경우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한편, ‘번’이 차례나 일의 횟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 번’, ‘두 번’, ‘세 번’과 같이 띄어 쓴다 ④ 굴∨속(×) → 굴속(○): ‘굴의 안’을 뜻하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
08. 다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 가을일[가을릴] ㉡ 텃마당[턴마당] ㉢ 입학생[이팍생] ㉣ 흙먼지[흥먼지] |
8번 해설 보기
정답: ③
‘입학생’은 [이팍생](자음 축약 – 음운의 축약) → [이팍쌩](된소리되기 – 음운의 교체)으로 발음된다. 축약이 일어나므로 음운의 수가 하나 줄었다. ① ‘가을일’은 [가을닐](ㄴ 첨가 – 음운의 첨가) → [가을릴](유음화 – 음운의 교체)로 발음된다. 첨가와 교체의 서로 다른 음운 변동이 나타난다. ② ‘텃마당’은 [턷마당](음절의 끝소리 규칙 – 음운의 교체) → [턴마당](비음화 – 음운의 교체)으로 발음된다. 파열음이자 치조음인 ‘ㄷ’이 뒤 음절 ‘ㅁ’의 영향으로, 최종적으로 비음이자 치조음인 ‘ㄴ’으로 발음되므로, 앞 자음의 조음 위치는 변하지 않았고 조음 방식이 변하였다. (앞 자음의 변화를 분석한 경우) 또한 앞뒤 자음의 동화 과정을 중심에 놓고 볼 때, ‘ㄴ’은 치조음이고 ‘ㅁ’은 순음이므로 조음위치가 같아지는 것이 아니라 조음 방법이 같아진 것이다. (앞뒤 자음의 관계를 분석한 경우) ④ ‘흙먼지’는 [흑먼지](자음군 단순화 – 음운의 탈락) → [흥먼지](비음화 – 음운의 교체)로 발음된다. 음절 끝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오면 이 7개의 자음 중 하나로 바뀌는 규칙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대한 것인데, ‘흙먼지’의 음운 변동 과정에서는 이를 발견할 수 없다. |
09. 어법에 어긋난 문장을 수정하고 설명한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접수되었을 때에는’은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된 상황을 나타내므로 ‘접수될 때에는’으로 바꾼다.
→ ‘과업 지시서 교부’와 서술어 ‘교부한다’는 의미상 중복되며 호응하지 않으므로 앞의 ‘교부’를 삭제한다.
→ 목적어 ‘수역을’과 서술어 ‘제외되다’는 호응하지 않으므로 ‘제외된’은 ‘제외한’으로 바꾼다.
→ 서술어 ‘열람하다’는 부사어 ‘관계자에게’와 호응하지 않으므로 ‘열람하게 한다.’와 같이 바꾼다.
9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접수되다’는 ‘신청이나 신고 따위가 구두(口頭)나 문서로 받아들여지다’의 의미이므로 이미 그러한 상태로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유사한 내용의 제안이 접수되었을 때에는 먼저 접수된 것이 우선한다’와 같이 써도 어색하지 않으므로 어법에 어긋난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접수되다’는 ‘…에/에게 접수되다’처럼 쓰이고, ‘우선하다’는 ‘…보다/…에 우선하다’의 형태로 쓰이므로 ‘유사한 내용의 제안이 기관에 접수되었을 때에는 먼저 접수된 것이 그에 우선한다’처럼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② ‘과업 지시서 교부’가 서술어에서 ‘교부하다’로 다시 나타나고 있으므로 앞의 것을 삭제하여 ‘안내서 및 과업 지시서는 참가 신청자에게만 교부한다’처럼 고치는 것은 자연스럽다. ‘교부하다’는 ‘…을 …에/에게’의 형태로 쓰이므로 ‘참가 신청자에게’처럼 쓰는 것은 적절하다. ③ ‘제외되다’는 ‘…가 …에서 제외되다’의 형태로 쓰이는 단어이므로, 앞에 목적어를 넣어 ‘수역을 제외된 상태에서’ 처럼 쓰는 것은 어색하다. ‘제외하다’의 경우는 ‘…을 …에서 제외하다’처럼 쓰므로 앞에 목적어가 올 수 있다. ‘해안선에서 ~ 수역을 제외한 상태에서’처럼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④ ‘열람하다’는 ‘…가 …을 열람하다’의 형태로 쓰이므로 ‘…에게’와 ‘열람하다’는 서로 호응하지 않는다. 또한 의미상으로도 ‘죽 훑어보거나 조사하면서 보다’의 의미이므로 ‘관계자에게 (이를) 열람하게 한다’ 정도로 고치는 것이 자연스럽다. |
10.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고인(古人)도 날 몯 보고 나도 고인(古人) 몯 뵈 고인(古人)을 몯 뵈도 녀던 길 알패 잇내 녀던 길 알패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 이황 (나) 술은 어이해야 됴하니 누룩 섯글 타시러라 국은 어이해야 됴하니 염매(鹽梅) 탈 타시러라 이 음식 이 뜯을 알면 만수무강(萬壽無疆)하리라 – 윤선도, 〈초연곡〉 (다) 우레갓치 소라나난 님을 번개갓치 번뜻 만나 비갓치 오락개락 구름갓치 헤여지니 흉중(胸中)에 바탐갓튼 한슘이 안개 피듯 하여라 – 작가 미상 (라) 하하 허허 한들 내 우옴이 졍 우옴가 하 어쳑 업서셔 늣기다가 그리 되게 벗님내 웃디들 말구려 아귀 쁴여디리라 – 권섭의 시조 |
10번 해설 보기
정답: ②
(나) 윤선도의 〈초연곡(初筵曲)〉은 연시조로, 작가가 연회석상에서 임금에게 잘못을 고치도록 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술은 어찌하여 맛이 좋은가? 누룩을 섞은 탓이로다.”, “국은 어찌하여 맛이 좋은가? 소금을 탄 탓이로다”에서 문답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나)에서 대조법을 활용하지는 않았으므로 ②가 적절하지 않다. (나)에서는 임금의 성덕을 ‘술’, ‘국’에, 어진 신하들의 보필을 ‘누룩’, ‘염매(소금)’에 비유하여 임금의 덕업을 돕는 신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임금에게 간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1. 다음에 제시된 단어의 의미에 맞게 쓴 문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어 | 의미 | 문장 |
살다 | 경기나 놀이에서, 상대편에게 잡히지 않고 제 기능을 하다. | ㉠ |
어떤 직분이나 신분의 생활을 하다. | ㉡ | |
마음이나 의식 속에 남아 있거나 생생하게 일어나다. | ㉢ | |
움직이던 물체가 멈추지 않고 제 기능을 하다. | ㉣ |
11번 해설 보기
정답: ③
㉢의 ‘살다’는 ‘본래 가지고 있던 색깔이나 특징 따위가 그대로 있거나 뚜렷이 나타나다’의 의미이므로 ‘마음이나 의식 속에 남아 있거나 생생하게 일어나다’라는 의미에 맞게 쓴 문장으로 적절하지 않다. ㉢에 들어갈 문장으로는 ‘어렸을 때 배운 노래 한 구절이 머릿속에 아직도 살아 있다’ 정도를 들 수 있다 |
12. 진행자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홍 교수: 네, 반갑습니다. 진행자: 나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이 제도가 어떤 제도인가요?
홍 교수: 지자체마다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고령 운전자들이 운전면허를 자발적으로 반납하게 유도하여 고령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제도입니다. 진행자: 고령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심각한가요? 뒷받침할 만한 자료가 있나요? 홍 교수: 네, 도로교통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전체 교통 사고 대비 고령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비율이 2014년에는 9.0%였으나 매년 조금씩 증가하여 2017년에는 1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아무래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다 보니 전체 운전자 중에서 고령 운전자에 해당하는 비율이 늘었기 때문인 것 같은데요. 홍 교수: 네, 그렇습니다. 이전보다 차량 성능이 월등히 좋아진 점도 하나의 요인이 될 것입니다. 진행자: 그렇다고 해도 무작정 운전면허를 반납하라고만 할 수는 없을 테고, 뭔가 보완책이 있나요? 홍 교수: 네, 지자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소정의 교통비를 지급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취지 자체만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혹시 제도 시행상의 문제점은 없나요? 홍 교수: 일회성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진행자: 아, 운전면허를 반납한 당시에만 교통비가 한 차례 지원된다는 말씀이군요. 홍 교수: 네, 이분들이 더 이상 운전을 하지 않아도 이동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이 제도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진행자: 그에 더해 장기적으로는 고령자 친화적인 대중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도 필요할 듯 합니다. 교수님,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12번 해설 보기
정답: ①
대담에 나타난 진행자의 말하기 방식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인터뷰의 마지막 부분에서, 지속적인 교통비 지원이 있어야 ‘고령자의 운전면허 자진 반납 제도’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홍 교수의 의견에 대해, 진행자는 ‘장기적으로는 고령자 친화적인 대중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도 필요’하다는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며 홍 교수의 의견을 보완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방인 홍 교수의 의견이 합리적이지 않음을 지적하며 인터뷰를 마무리 짓는다는 ①이 적절하지 않다. ② 홍 교수가 “전체 교통사고 대비 고령자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 비율이 ~ 2017년에는 1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라고 도로교통공단의 통계 자료를 인용하자, 진행자는 “아무래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다 보니 ~ 고령 운전자에 해당하는 비율이 늘었기 때문인 것 같은데요”라고 해석하고 있다. ③ “그렇다고 해도 무작정 운전면허를 반납하라고만 할 수는 없을 테고, 뭔가 보완책이 있나요?”에서 진행자는 홍 교수에게 ‘고령자의 운전면허 자진 반납 제도’의 보완책이라는 추가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④ “고령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심각한가요? 뒷받침할 만한 자료가 있나요?”에서 진행자는 ‘고령자의 운전면허 자진 반납 제도’의 시행 배경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홍 교수에게 요구하고 있다. |
1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명백히 모순되는 두 개의 견해를 취했다. 그들은 인간의 위치를 자연계 안에서 해명하려고 애썼다. 역사의 법칙이란 것을 자연의 법칙과 동일한 것으로 여겼다. 다른 한편, 그들은 진보를 믿었다. 그렇다면 그들이 자연을 진보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끊임없이 어떤 목적을 향해서 전진하는 것으로 받아들인 데에는 어떤 근거가 있었던가? 헤겔은 역사는 진보하는 것이고 자연은 진보하지 않는 것이라고 뚜렷이 구분했다. 반면, 다윈은 진화와 진보를 동일한 것으로 주장함으로써 모든 혼란을 정리한 듯했다. 자연도 역사와 마찬가지로 진보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진화의 원천인 생물학적인 유전[biological inheritance]을 역사에서의 진보의 원천인 사회적인 획득[social acquisition]과 혼동함으로써 훨씬 더 심각한 오해에 이를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오늘날 그 둘이 분명히 구별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것이다. |
13번 해설 보기
정답: ④
글쓴이는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자연을 진보하는 것으로 받아들인 근거로, 서로 대비되는 헤겔과 다윈의 견해를 들고 있다. 즉 제시문에 따르면, 헤겔은 역사는 진보하되 자연은 진보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다윈은 진화와 진보를 동일시함으로써 자연과 역사 모두 진보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는 생물학적인 유전과 사회적인 획득을 혼동함으로써 더 심각한 오해에 이르는 길을 열어놓았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제목으로는 ④ ‘진보와 진화에 관한 견해들’이 가장 적절하다. |
14.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유 소사가 말하기를, “신부(新婦)가 이제 내 집에 들어왔으니 어떻게 남편을 도울꼬?”
사씨 대답하여 말하기를, “첩(妾)이 일찍 아비를 여의고 자모(慈母)의 사랑을 입사와 본래 배운 것이 없으니 물으시는 말씀에 대답치 못하옵거니와 어미 첩을 보낼 제 중문(中門)에 임(臨)하여 경계하여 말씀하시기를 ‘반드시 공경(公卿)하며 반드시 경계(警戒)하여 남편을 어기오지 말라.’ 하시니 이 말씀이 경경(耿耿)하여 귓가에 있나이다.” 유 소사가 말하기를, “남편의 뜻을 어기오지 말면 장부(丈夫) 비록 그른 일이 있을지라도 순종(順從)하랴?” 사씨 대 왈, “그런 말이 아니오라 부부(夫婦)의 도(道) 오륜(五倫)을 겸(兼)하였으니 아비에게 간(諫)하는 자식이있고 나라에 간하는 신하 있고 형제(兄弟) 서로 권하고 붕우(朋友) 서로 책(責)하나니 어찌 부부라고 간쟁(諫諍)치 않으리이까? 그러하나 자고로 장부(丈夫) 부인(婦人)의 말을 편청(偏聽)하면 해로움이 있삽고 유익(有益)함이 없으니 어찌 경계 아니 하리이까?” 유 소사가 모든 손님을 돌아보며 말하기를, “나의 며느리는 가히 조대가*에 비할 것이니 어찌 시속(時俗) 여자가 비칠 바리오.”라고 하였다. – 김만중, 〈사씨남정기〉 |
14번 해설 보기
정답: ③
김만중의 〈사씨남정기〉는 양반 사대부인 유한림의 가정에서 벌어진 처첩 간의 갈등을 통해 축첩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한 소설이다. 유 소사가 ‘장부 비록 그른 일이 있을지라도 순종하랴?’라고 질문하자 사씨는 ‘어찌 부부라고 간쟁치 않으리이까?’라고 반문한다. 간쟁(諫爭/諫諍)이란 ‘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함’이란 의미이므로, 사씨가 남편이 잘못하면 이를 지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③이 가장 적절한 이해이다. ① 사씨의 어머니가 딸이 남편에게 맞섰던 일을 비판하는 내용은 나타나 있지 않다. 사씨의 어머니가, 남편을 공경하고 경계하여 어기지 말라는 이야기를 했다는 내용이 있을 뿐이다. ② 사씨는 자신이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의 사랑을 받아 ‘본래 배운 것이 없으니’라고 말하고 있지만, 사씨가 이를 안타까워한다는 내용은 없다. ④ 유 소사는 사씨의 말을 듣고 그녀를 조대가에 비할 만하다고 말하고 있다. 즉 조대가는 학식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은 여인이므로, 유 소사는 며느리 사씨의 이러한 점을 칭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 소사가 사씨의 효성이 지극함을 흡족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15. 다음 글에서 ‘소리’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바깥은 어둡고 뜰 변두리의 늙은 나무들은 바람에 불려 서늘한 소리를 내었다. 처마 끝 저편에 퍼진 하늘에는 별이 총총하게 박혀 있으나, 아스무레한 초여름 기운에 잠겨 있었다. 집은 전체로 조용하고 썰렁했다.
꽝 당 꽝 당 먼 어느 곳에서는 이따금 여운이 긴 쇠붙이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밑 거리의 철공소나 대장간에서 벌겋게 단 쇠를 쇠망치로 뚜드리는 소리 같았다. 근처에는 그런 곳은 없을 것이었다. 그렇다면 굉장히 먼 곳일 것이었다. 굉장히 굉장히 먼 곳이 것이었다. 꽝 당 꽝 당 단조로운 소리이면서 송곳처럼 쑤시는 구석이 있는, 밤중에 간헐적으로 들려오는 그 소리는 이상하게 신경을 자극했다. “참, 저거 무슨 소리유?” 영희가 미간을 찌푸리면서 말했다. “글쎄, 무슨 소릴까…….” 정애가 심드렁하게 대답했다. “이 근처에 철공소는 없을 텐데.” “…….” 정애는 표정으로만 수긍을 했다. 꽝 당 꽝 당 그 쇠붙이에 쇠망치 부딪치는 소리는 여전히 간헐적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밤내 이어질 모양이었다. 자세히 그 소리만 듣고 있으려니까 바깥의 선들대는 늙은 나무들도 초여름 밤의 바람에 불려서 그런 것이 아니라 저 소리의 여운에 울려 흔들리고 있었다. 저 소리는 이 방안의 책 틈서리를 쪼개고도 있었다. 형광등 바로 위의 천장에 비수가 잠겨있을 것이었다. – 이호철, 〈닳아지는 살들〉 |
15번 해설 보기
정답: ④
이호철의 〈닳아지는 살들〉은 어느 실향민 가정의 응접실을 배경으로 하여 전후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 가족의 권태와 비극을 그린 소설이다. 제시문은 먼 어느 곳에서 여운이 길게 들려오는 ‘꽝 당 꽝 당’ 소리가 조성하는 분위기와 인물의 심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 소설은 한정된 시간에서의 ‘기다림 → 기다림의 좌절’이라는 단선적 구성을 취하는데, 여기서 반복되는 쇠붙이 두드리는 소리는 가족들의 정신적인 고뇌를 상징하는 동시에, 희망 혹은 행복했던 과거 등으로 상징되는 맏딸이 돌아오지 못한 분단의 비극을 상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소리의 여운이 갈등 해소의 기미를 강화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④가 적절하지 않다. ①・②・③ ‘꽝 당 꽝 당’ 반복되며 울리는 소리가 인물의 신경을 자극하며 불안한 예측을 불러일으키는 등의 역할을 하는 데서 알 수 있다. |
16.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그동안 나는 〈일 포스티노〉를 세 번쯤 빌려 보았다. 그 이유는 이 아름다운 영화 속에 아스라이 문학이 똬리를 틀고 앉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이처럼 쉽고도 절실하게 설명해 놓은 문학 교과서를 나는 아직까지 보지 못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시를 가르칠 때 나는 종종 영화 〈일 포스티노〉를 활용한다. 수백 마디의 말보다 〈일 포스티노〉를 함께 보고 토론하는 것이 시의 본질에 훨씬 깊숙이, 훨씬 빨리 가 닿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기도 했다.
시를 공부하면서 은유에 시달려 본 사람이라면 이 영화를 보고 수차례 무릎을 쳤을 것이다. 마리오 루폴로가 네부다에게 보내기 위해 고향의 여러 가지 소리를 녹음하는 인상적인 장면이 있다. 여기서 해변의 파도 소리를 녹음하는 것이 은유의 출발이라면 어부들이 그물을 걷어 올리는 소리를 담고자 하는 모습은 은유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밤하늘의 별빛을 녹음하는 기막히게 아름다운 장면에 이르면 은유는 절정에 달한다. 더 이상의 구차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
16번 해설 보기
정답: ②
제시문과 일치하지 않는 내용을 찾는 문제이다. 두 번째 단락에서 글쓴이는, 〈일 포스티노〉에 등장하는 마리오 루폴로라는 인물이 고향의 여러 가지 소리를 녹음하는 장면을 시의 은유와 연결시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영화의 인물이 은유의 본질과 의미를 알고 있는지는 제시문으로는 알기 어렵다. 두 번째 단락에 나오는 〈일 포스티노〉의 장면을 시의 은유와 연결시킨 해석은 글쓴이의 것이다. ① 〈일 포스티노〉가 시의 본질에 대한 해답을 준다는 내용을 통해, 문학의 미적 자질과 이 영화의 미적 자질 사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②・④ 첫 번째 단락의 “특히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 훨씬 빨리 가 닿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기도 했다”에서 알 수 있다. |
17. 다음 ( )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방랑시인 김삿갓의 시는 해학과 풍자로 가득 차 있는데, 무슨 시든 단숨에 써 내리는 一筆揮之인데다 가희 ( )의 상태라서 일부러 꾸미지 않았는데도 자연스럽고 아름답다. |
17번 해설 보기
정답: ③
‘일부러 꾸미지 않았는데도 자연스럽고 아름답다’라고 하였으므로, ( )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인 ‘天衣無縫(하늘 천, 옷 의, 없을 무, 꿰맬 봉)’이다. ‘天衣無縫’은 ‘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 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① 花朝月夕(꽃 화, 아침 조, 달 월, 저녁 석):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 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 ② 韋編三絶(가죽 위, 엮을 편, 석 삼, 끊을 절): 공자가 주역을 즐겨 읽어 책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책을 열심히 읽음을 이르는 말 ④ 莫無可奈(없을 막, 없을 무, 옳을 가, 어찌 내): 달리 어찌할 수 없음. |
18. 밑줄 친 부분의 한자 표기가 잘못된 것은?
18번 해설 보기
정답: ①
‘세상에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는 탓으로 당하는 불편이나 곤욕을 속되게 이르는 말’인 ‘유명세’는 ‘有名稅(있을유, 이름 명, 세금 세)’로 쓴다. *勢: 기세 세 한편, ‘유명세’는 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단어이므로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문장에는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② 福不福(복 복, 아닐 불, 복 복): 복분(福分)의 좋고 좋지 않음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운수를 이르는 말 *福分(복 복, 나눌 분): 복을 누리는 분수 ③ 對症療法[대답할 대, 증세 증, 병 고칠 요(료), 법도 법]: 병의 원인을 찾아 없애기 곤란한 상황에서, 겉으로 나타난 병의 증상에 대응하여 처치를 하는 치료법 ④ 經緯(경서 경, 씨 위):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 참고로, ‘涇渭(통할 경, 속 끓일 위)’는 ‘사리의 옳고 그름이나 이러하고 저러함에 대한 분별’이라는 뜻이다. 중국의 징수이강(涇水江)의 강물은 흐리고 웨이수이강(渭水江)의 강물은 맑아 뚜렷이 구별된다는 데에서 나온 말이나 건륭제 때 확인해 보니, 실제로는 징수이강이 맑고 웨이수이강이 흐렸다고 한다. |
19. 다음 글에서 추론한 바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우리는 도시화, 산업화, 고도성장 과정에서 우리 경제의 뒷방살이 신세로 전락한 한국 농업의 새로운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농업은 경제적 효율성이 뒤처져서 사라져야 할 사양 산업이 아니다.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와 식량 및 에너지 등 자원위기에 대응하여 나라와 생명을 살릴 미래 산업으로서 농업의 전략적 가치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농본주의의 기치를 앞세우고 농업 르네상스 시대의 재연을 통해 우리 경제가 당면한 불확실성의 터널을 벗어나야 한다. 우리는 왜 이런 주장을 하는가? 농업은 자원 순환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산업이기 때문이다. 땅의 생산력에 기초해서 한계적 노동력을 고용하는 지연(地緣) 산업인 동시에 식량과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천적인 생명 산업이기 때문이다. 물질적인 부의 극대화를 위해서 한 지역의 자원을 개발하여 이용한 뒤에 효용 가치가 떨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유목민적 태도가 오늘날 위기를 낳고 키워 왔는지 모른다.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지 못하는 구시대의 경제 패러다임으로는 오늘날의 역사에 동승하기 어렵다. 이런 맥락에서, 지키고 가꾸어 후손에게 넘겨주는 정주민의 문화적 지속성을 존중하는 농업의 가치가 새롭게 조명받는 이유에 주목할 만하다. 과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 성과를 수용하여 새로운 상품과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녹색 성장 산업으로서 농업의 잠재적 가치가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
19번 해설 보기
정답: ④
마지막 문장을 보면, 과학 기술의 부작용을 성찰해서가 아니라, 과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 성과를 수용하여 녹색 성장 산업으로의 농업의 가치를 드높일 수 있다는 것이 글쓴이의 주장이다. 따라서 ④는 잘못된 추론이다. ① 첫 문장의, 고도성장 과정에서 한국 농업이 우리 경제의 뒷방살이 신세로 전락했다는 진술에서 추론할 수 있다. ② 첫 번째 단락을 보면, 농업은 경제적 효율성이 뒤처져서 사라져야 할 사양 산업이 아니며 미래 산업으로서의 그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또한 두 번째 단락을 보면, 효용 가치가 떨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유목민적 태도가 오늘날 위기를 낳고 키워 왔으며 이러한 구시대의 경제 패러다임으로는 오늘날의 역사에 동승하기 어렵다. 따라서 효율성을 중요한 가치로 내세우는 구시대적인 경제 시스템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데 한계를 지녔음을 추론할 수 있다. ③ 두 번째 단락의, 효용 가치를 따라 이동하는 유목민적 태도에 대해 비판한 후, 정주민의 문화적 지속성을 존중하는 농업의 가치가 새롭게 조명 받는다고 평가하는 데서 알 수 있다. |
20. 다음 글쓴이의 입장에 부합하는 것은?
효(孝)가 개인과 가족, 곧 일차적인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규정한 것이라면, 충(忠)은 가족이 아닌 사람들과의 관계, 곧 이차적인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행위를 규정한 것이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효를 순응적 가치관을 주입하는 봉건 가부장제 사회의 유습이라고 오해하는가 하면, 충과 효를 동일시하는 오류를 저지르는 경향이 많아졌다. 다음을 보자.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를 사랑하는 사람은 윗사람의 명령을 거역하는 경우가 드물다. 또 윗사람의 명령을 어기지 않는 사람은 난동을 일으키는 경우도 드물다. 군자는 근본에 힘쓴다. 근본이 확립되면 도가 생기기 때문이다. 효도와 우애는 인(仁)의 근본이다.” 위 구절에 담긴 입장을 기준으로 보면 효는 윗사람에 대한 절대 복종으로 연결된다. 곧 종족 윤리의 기본이 되는 연장자에 대한 예우는 물론이고 신분 사회의 엄격한 상하 관계까지 포괄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구절만을 근거로 효를 복종의 원리라고 보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다. 왜냐하면 원래부터 효란 가족 윤리 또는 종족 윤리로서 사회 윤리였던 충보다 우선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교의 기본 입장은 설사 부모의 명령이라 하더라도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는 맹목적인 복종은 그 자체가 불효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유교에서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자연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인위적으로 끊을 수 없다고 본다. 이에 비해 임금과 신하의 관계는 공동의 목표를 위한 관계로서 의리에 의해서 맺어진 관계로 본다. 의리가 맞지 않는다면 언제라도 끊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20번 해설 보기
정답: ③
글쓴이는, 첫 번째 단락에서 효가 순응적 가치관을 주입하는 봉건 가부장제 사회의 유습이라는 생각은 오해라고 말한 뒤, 두 번째 단락에서 글쓴이의 입장과 대비되는 입장을 제시하고, 세 번째 단락에서 주지를 들고 있다. 즉 글쓴이는, 설사 부모의 명령이라도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맹목적으로 복종하는 것은 불효라는 것이 유교의 기본 입장이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절대시하지 않는 것이 유교적 윤리의 한 바탕이라는 ③이 글쓴이의 입장과 부합한다. ① 첫 번째 단락을 보면, 효가 일차적인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행위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나 글쓴이는 효가 봉건 가부장제 사회의 유습이라는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므로, ‘효가 가부장제 사회에서 비롯한’이라는 설명은 글쓴이의 입장과 부합하지 않는다. ② 효가 ‘조건 없는 신뢰에 기초한다’는 생각은,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부모의 명령이라고 맹목적으로 복종하는 것은 불효라는 입장과 배치된다. ④ 제시문에 나오지 않는 내용이다. |
2019년 지방직 국어 점수를 댓글로 남겨보세요. 다시 풀었을 때 점수가 향상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지방직 국어 외 다른 국어 기출 풀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