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지방직 7급 지방자치론
2015년 지방직 7급 지방자치론 기출 풀기입니다. 정답을 체크하시고, 하단에 있는 채점 하기 버튼 누르시면 자동 채점됩니다.
|
ㄱ. 중앙행정 권한의 지방이양 촉진 등에 관한 법률
ㄴ. 주민투표법 ㄷ.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ㄹ.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 |
1번 해설 보기
|
정답: ②
해설 내용 ㄱ. 중앙행정 권한의 지방이양 촉진 등에 관한 법률 – 김대중 정부, 1999년 제정 ㄴ. 주민투표법 – 노무현 정부, 2004년 제정 ㄷ.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 이명박 정부, 2010년 제정 ㄹ.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 – 노무현 정부, 2006년 제정 |
02.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번 해설 보기
|
정답: ④
④ 1995년 6. 27 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실시하여 기초 광역의회 의 원 및 단체장을 선출하였다. 1998년 6.4 지방선거는 두 번째 전국동시지방선거에 해당한다. ① 제정 지방자치법에서는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를 국가공무원으로 하되 대통령이 임명하 고, 시 읍 면장은 지방공무원으로 하며, 각 지방의회에서 간접 선출되도록 하였다. ② 제정 지방자치법에서는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를 국가공무원으로 하되 대통령이 임명하 고, 시 읍 면장은 지방공무원으로 하며, 각 지방의회에서 간접 선출되도록 하였다. ③ 1961년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은 읍 면 자치제 대신 군자치제를 채택하였다. |
03. 지방자치법 상 지방의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 지방자치법 제45조(임시회) 제1항: 총선거 후 최초로 집회되는 임시 회는 지방의회 사무처장·사무국장·사무과장이 지방의회의원 임기 개 시일부터 25일 이내에 소집한다. |
04. 현행법상 우리나라의 지방분권 업무를 추진하는 기구는?
4번 해설 보기
|
정답: 無
당시 정답은 1번이었으나, 2022년 기준 정답 없음.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 44조(자치분권위원회의 설치): 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추 진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자치분권위원회를 둔다 |
05. 지방자치법 상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기관’에 해당하는 것은?
5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 보조기관: 부지사 · 소속행정기관: 소방기관(직속기관), 출장소, 사업소 |
06.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은 것은?
6번 해설 보기
|
정답: ②
· 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 특별시·광역시 및 특별자치시가 아닌 인구 50만 이상의 시에는 자치구가 아닌 구를 둘 수 있고··· |
07. 지방자치법 상 시(市)ㆍ읍(邑)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번 해설 보기
|
정답: ②
· 지방지치법 제7조(시·읍의 설치기준 등) 제4항: 시·읍의 설치에 관한 세부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08 . 지방재정법 상 지방예산 과정에서 주민 참여와 감시에 대 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번 해설 보기
|
정답: ②
지방재정법 제39조 제4항: 행정안전부장관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역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자치 단체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 2021년 기준 행정자치부 → 행정안전부로 조직개편 됨 |
09. 지방세 중 도(道)세에 해당하는 것은?
9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지방세기본법 제 8조 제 2항
|
10. 조례와 규칙의 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번 해설 보기
|
정답: ①
· 지방자치법 제26조 제1항: 조례안이 지방의회에서 의결되면 의장은 의결 된 날부터 5일 이내에 그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를 이송하여야 한다. |
11. 지방재정법 상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 지 않은 것은?
11번 해설 보기
|
정답: ④
· 지방재정법 제37조의2 제1항: ···다만, 지방재정투자심사위원회의 기능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다른 위원회가 있고 그 위원회의 위원이 지방재정 또 는 투자심사에 관한 학식이나 전문성을 갖춘 경우에는 조례로 정하는 바 에 따라 그 위원회가 지방재정투자심사위원회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
12.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제약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 지방자치법 제112조 제2항: 제1항에 따른 행정기구의 설치와 지방공무 원의 정원은 인건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그 지방자치단 체의 조례로 정한다 |
13. 우리나라의 지방의회의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공직자윤리법 제3조 제1항: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 직자(이하 “등록의무자”라 한다)는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재 산을 등록하여야 한다. 2.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의회의원 등 지방자치단체의 정무직공무원 |
14. 지방자치법 상 지방의회와의 관계에서 지방자치단체장에 게 전혀 인정되지 않는 권한은?
14번 해설 보기
|
정답: ②
· ① 지방자치법 제107조(지방의회의 의결에 대한 재의요구와 제소) · ③ 지방자치법 제108조(예산상 집행 불가능한 의결의 재의요구) · ④ 지방자치법 제109조(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결처분) |
15. 다음 ㉠, ㉡에 들어갈 용어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지방자치법 제4조(지방자치단체의 명칭과 구역) ① 지방자치단체의 명칭과 구역은 종전과 같이 하고, 명 칭과 구역을 바꾸거나 지방자치단체를 폐지하거나 설 치하거나 나누거나 합칠 때에는 ( ㉠ )로 정한다. 다 만,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 경계변경과 한자 명칭 의 변경은 ( ㉡ )으로 정한다. |
15번 해설 보기
|
정답: ①
지방자치법 제4조(지방자치단체의 명칭과 구역) 제1항: 지방자치단체 의 명칭과 구역은 종전과 같이 하고, 명칭과 구역을 바꾸거나 지방 자치단체를 폐지하거나 설치하거나 나누거나 합칠 때에는 (㉠ 법률) 로 정한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 경계변경과 한자 명칭 의 변경은 (㉡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16. 우리나라 주민참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 지방자치법 제17조 제1항: ···공금의 지출에 관한 사항, 재산의 취 득·관리·처분에 관한 사항, 해당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매 매·임차·도급 계약이나 그 밖의 계약의 체결·이행에 관한 사항 또는 지방세·사용료·수수료·과태료 등 공금의 부과ㆍ징수를 게을리한 사 항··· |
17. 지방공기업법 상 지방공기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번 해설 보기
|
정답: ②
· 지방공기업법 제59조 제1항: 공사의 사장, 이사 및 감사의 임기는 3 년으로 한다. |
19. 주민투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번 해설 보기
|
정답: ③
·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6조 제1항: 정당은 교육감선거에 후보 자를 추천할 수 없다 |
19. 주민투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번 해설 보기
|
정답: ①
· 주민투표법 제22조(투표운동의 제한) 제1항: 누구든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투표운동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1. 야간호별방문 및 야간옥외집회 2. 투표운동을 목적으로 서명 또는 날인을 받는 행위 3. 「공직선거법」 제80조의 규정에 의한 연설금지장소에서의 연설 행위 4. 「공직선거법」 제91조에서 정하는 확성장치 및 자동차 등의 사 용제한에 관한 규정을 위반하는 행위 |
20. 지방자치단체인 A군(郡)과 B군(郡)이 사무의 일부를 공 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행정협의회’를 구성하고자 할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번 해설 보기
|
정답: ①
해설 내용 ① ② ③ ④ |
2015년 지방직 7급 지방자치론 점수를 댓글로 남겨보세요. 다시 풀었을 때 점수가 향상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5년 지방직 7급 지방자치론 외 다른 지방자치론 기출 풀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