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신규임용 시험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신규 임용을 위해서 지원자를 테스트 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됩니다. 특히, 타당도는 기준타당도,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의 개념을 비교하는 것까지 출제됩니다.
신규임용 시험 설명


신규임용 시험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07 지방직 8급 등 총 7회 출제
01. 다음 괄호에 맞는 말을 찾으시오.
( ㄱ )은 시험이 측정하려고 하는 바를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 ㄴ )은 시험시기나 도구, 형식, 선서 등에 따라 점수가 영향을 받지 않는 정도를 말하며 시기 등을 다르게 하여도 일정한 점수를 나타내면 ( ㄴ )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ㄷ )은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의 배합의 적정설을 말허며, ( ㄹ )은 어느 누가 채점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
해설 보기
정답: ①
ㄱ-타당도 ㄴ-신뢰도 ㄷ-난이도 ㄹ-객관도 |
기출 02번
2010 경정승진 등 총 2회 출제
02. 채용시험의 타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ㄱ. 시험성적과 업무수행실적간에 상관관계 ㄴ.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요소와 시험문제의 부합정도 ㄷ. 이론적으로 추정한 능력요소와 시험문제의 부합정도 |
A. 내용타당도 B. 구성타당도 C. 기준타당도 |
해설 보기
정답: ②
ㄱ. 기준타당도 ㄴ. 내용타당도 ㄷ. 구성타당도 |
기출 03번
2019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3. 선발시험의 기준타당성(crterion valid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① 신뢰도 ② 내용 타당도 ④ 구성 타당도 |
기출 04번
2013 국회직 8급
04. 다음 중 연구대상방법론에서 사용하는 타당성(validi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신뢰되에 대한 설명입니다. 내용타당도는 시험내용과 직무내용의 일치 정도를 의미합니다. |
기출 05번
2022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험의 효용성 판단 기준은?
시험을 통해 측정하는 행동이나 질문의 내용이 직무수행의 중요한 국면을 대표하는 정도를 말한다. |
해설 보기
정답: ③
시험내용(질문의 내용)과 직무내용이 일치하는 정도는 묻고 있으므로 내용타당성입니다. |
기출 06번
2014 지방직 7급
06. 소방공무원의 선발시험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의 검증방법에 대한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재시험법(시기를 달리하여 시험)하는 것은 신뢰도입니다. 기준타당도는 시험성적과 근무성적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것입니다. ④ 구성타당성 중 수렴적 타당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출 07번
2013 경정승진 등 총 5회 출제
07. 선발시험의 효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⑤
동시적 타당성 검증과 예측적 타당성 검증은 기준타당성을 검증하는 수단입니다. |
기출 08번
2007 서울직 7급 등 총 4회 출제
08. 공무원 선발시험의 효용성이 의미하지 않는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일 뿐 충분 조건은 아닙니다. |
기출 09번
2006 서울직 9급
09.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일정한 기간 직장생활을 한 다음에 그의 채용 시험성적과 업무실적을 비교하여 양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검증하는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기준적 타당성 중 예측적 검증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출 10번
2017 지방직 7급
10. 선발시험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① 기준타당도 ③ 예측적 기준타당성 ④ 신뢰성은 시험 자체의 문제이며, 재시험법은 종적 일관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
기출 11번
2012 해경간부
11. 공무원 채용시험의 효용도의 기준(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ㄱ. 구성타당성(construct validity)이란 이론적으로 추정한 능력요소와 시험문제의 부합정도를 말한다. ㄴ. 동시적 타당성 검증과 예측적 타당성 검증은 구성타당성을 검증하는 수단이다. ㄷ.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이란 시험내용이 직위의 의무와 책임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능력요소들, 즉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ㄹ. 시험의 신뢰성은 시험결과로 나온 성적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ㅁ. 재시험법, 복수양식법, 이분법 등은 신뢰성을 검증하는 수단이다. |
해설 보기
정답: ③
ㄴ. 기준타당성을 검증하는 수단입니다. |
기출 12번
2018 국가직 7급
12. 공무원 임용시험의 효용성을 측정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시험 성적이 직무수행실적과 얼마나 부합하는가를 판단하는 타당성으로 두 요소 간 상관계수로 측정하는 것은 기준타당도입니다. |
기출 13번
2022 지방직 7급
13. 선발시험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기준 타당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출 14번
2012 지방직 7급
14. 측정의 타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기준 타당성 ③ 내용타당도 ④ 구성타당성 중 수렴적타당성 |
기출 15번
2023 국회직 8급
15. 다음 <보기> 중 시험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 구성타당성이란 결과의 측정을 위한 도구가 반복적인 측정에서 얼마나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타당성이다. ㄴ. 기준타당성이란 직무수행능력의 예측이 얼마나 정확한가에 대한 타당성이다. ㄷ. 내용타당성이란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관한 요소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타당성이다. ㄹ. 종적 일관성이란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측정결과가 안정된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ㅁ. 시험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재시험법, 동질 이형법, 이분법 등이 있다. |
해설 보기
정답: ①
ㄱ. 신뢰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