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적 접근 방법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정책집행이론의 2세대인 Sabaier와 Mazmanian의 하향적접근방법입니다. 단독 문제로도 출제될 만큼 중요한 챕터입니다. 모든 내용을 이해하고 암기한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셔야 됩니다.
하향식 접근 방법 설명
![하향식 접근 방법](https://morningstudy.com/wp-content/uploads/2024/04/하향식-접근-방법-1024x643.png)
하향식 접근 방법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11 지방 7급 등 총 5회 출제
01. 정책집행연구에 있어서 하향적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집행을 주도하는 집단이 없거나, 집행이 다양한 기관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것은 상향적 접근방법입니다. |
문제 02번
2018 국회 9급 등 총 3회 출제
02. 정책집행연구의 하향식 접근에서 효과적인 정책집행의 조건이 아닌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상향적 접근방법의 성공적인 정책집행 조건에 대한 설명입니다. |
문제 03번
2011 지방 9급
03. 사바티어(P.Sabatier)와 마즈매니언(D.Mazmanian)이 효과적인 정책집행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본 전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정적목표가 일관적이어야 효과적인 정책집행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
문제 04번
2013 지방 9급
04.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 중에서 하향적(top-down) 접근방법이 중시하는 효과적 정책집행의 조건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일선관료의 재량권 확대 ㄴ. 지배기관들(sovereigns)의 지원 ㄷ. 집행을 위한 자원의 확보 ㄹ.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목표 |
해설 보기
정답: ④
ㄱ. 일선관료의 재량권 확대를 주장하는 것은 상향적 접근방법입니다. |
문제 05번
2012 지방 9급
05.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② 집행주체의 집행역량은 집행구조나 조직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③ 의사결정점이 많으면 신속하게 집행되지 않습니다. ④ 정책수혜집단의 규모가 크고 조직화 정도가 강하면 집행이 쉬워집니다. |
문제 06번
2017 지방 9급
06. 정책집행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정책집행연구의 하향론자들은 단순한 조직구조가 정책의 집행을 도와준다고 봅니다. |
문제 07번
2022 국가 7급
0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책집행 모형을 제시한 학자는?
· 효과적인 정책집행을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서 정책결정의 내용은 타당한 인과이론에 바탕을 두어야 하며 정책내용으로서 법령은 명확한 정책지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집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들을 미리 예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체크리스트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장점이 있다. · 정책집행 현장의 일선관료들이나 대상집단의 전략 등을 과소평가하거나 쉽게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해설 보기
정답: 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