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 불복 소청 심사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소청심사의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 지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소청심사위원회이 어디에 속해 있는 지 알아야 하며, 위원장과 위원들이 어떻게 임명되는 지도 아셔야 합니다.
징계 불복 소청 심사 설명

징계 불복 소청 심사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15 지방직 9급
01. 고충처리제도와 소청심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은 기속하지만, 고충심사위원회의 결정은 기속하지 않습니다. |
기출 02번
2017 국가직 7급
02. 소청심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① 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은 권고가 아니라 따라야 하는 기속력이 있습니다. ② 휴직과 전보는 심사대상에 해당됩니다. ③ 지방소청심사위원회는 광역자치단체별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기출 03번
2022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3. 우리나라 소청심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공무원의 근무조건, 인사관리, 기타 신상 관련 불만사항은 소청심사대상이 아닙니다. 소청심사 대상은 신분상 불이익 처분입니다. |
기출 04번
2014 국가직 7급
04. 인사혁신처에 설치된 소청심사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반드시 상임위원 수의 2분의 1 이상인 비상임위원을 두어야 합니다. |
기출 05번
2021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05. 공무원 징계 및 소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소청심사위원회는 재적 위원 2/3 이상의 출석과 출성 위원의 과반수의 합의로 결정됩니다. |
기출 06번
2021 지방직 7급
06. 공무원 고충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보충심사위원회: 위원 5명 이상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 합의 중앙고충심사위원회: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출석 위원 과반수 합의 |
기출 07번
2015 해경간부
07. 우리나라 옴브즈만 제도인 국민권익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