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의제 설정 환경 설명 및 기출 문제입니다. 쌩뚱맞게 행태주의와 체제론이 나오기도 합니다. 2문제가 있는데, 풀어보세요. 총론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풀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암기하고 넘어가세요.
의제 설정에 관한 모형 기타 설명
![](https://morningstudy.com/wp-content/uploads/2024/03/정책-의제-설정-환경-1-1-1024x656.png)
![정책 의제 설정 환경 2](https://morningstudy.com/wp-content/uploads/2024/03/정책-의제-설정-환경-2-1024x657.png)
의제 설정에 관한 모형 기타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14 국가 9급
01. 정책의제설정과 관련된 이론과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A. 사이먼(H. Simon)의 의사결정론 B. 체제이론 C. 다원주의론 D. 무의사결정론 |
ㄱ. 조직의 주의 집중력은 한계가 있어 일부의 사회문제만이 정책의제로 선택된다. ㄴ. 문지기(gate-keeper)가 선호하는 문제가 정책의제로 채택된다. ㄷ. 이익집단들이나 일반 대중이 정책의제설정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ㄹ. 대중에 대한 억압과 통제를 통해 엘리트들에게 유리한 이슈만 정책의제로 설정된다. |
문제 02번
2006 국가 7급
02. 정책문제의 채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체제이론은 외부환경의 문제보다는 정치체제의 능력상 한계로 사회 문제가 체제내로 투입되지 못한다고 봅니다. ② 무의사결정은 본래 신엘리트이론입니다. 신엘리트이론에서는 미국과 같은 다원적 사회주의에서도 무의사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문제 03번
2019 경찰간부
03. 정책의제설정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동형화모형은 정부 간 정책전이(policy transfer)가 모방, 규범, 강압을 통해 이뤄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① 동원형은 후진국에서 나타나는 모형입니다. ② 동원형입니다. ③ 포자모형은 정책 자체보다는 환경을 더 중시합니다. |
문제 04번
2015 국가 7급
04. 킹던(Kingdon)의 정책의 창(정책흐름)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서로 연관성 없이 독자적으로 흘러다니다가 우연히 만나 의사결정됩니다. |
문제 05번
2018 국가 9급 등 총 4회 출제
05. 킹던(J.Kingdon)의 '정책의 창(policy windows)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이슈 흐름이 아니라 정책 흐름입니다. |
문제 06번
2023 지방 9급
06. 킹던(Kingdon)이 제시한 정책흐름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경쟁하는 연합의 자원과 신념체계(belief system)를 강조한다. ㄴ. 쓰레기통모형을 발전시킨 것이다. ㄷ. 정책 과정의 세 흐름은 문제흐름, 정책흐름, 정치흐름이 있다. |
해설 보기
정답: ④ |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