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의제 설정 과정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정책이 의제화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Cobb, Elder, Ross, May, Hirschman 등 학자들이 주장한 내용을 모두 암기하셔야 합니다.
정책 의제 설정 과정 설명
정책 의제 설정 요인 👆정책 의제 설정 과정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11 서울 7급
01. 다음 중 공중의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면?
가. 일반대중이 정부가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공감하는 일련의 이슈를 의미한다.
나. 문서화되거나 공식화되지 않은 의제이다.
다. 사회문제의 성격이나 그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란이 벌어지면 공중의제가 된다.
라. 일단 공중의제가가 되면 그 사회문제는 해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나, 다
④ 가, 나, 라
해설 보기
정답: ①
다. 사회문제의 성격이나 그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공중의제가 아니라 사회적 이슈입니다.
라. 사회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인 높은 것은 체제 의제이니다.
|
문제 02번
2021 지방 7급
02. 다음은 콥과 로스(Cobb & Ross)가 제시한 의제 설정 과정이다. 가~다에 들어갈 유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사회문제 → 정부의제
나: 사회문제 → 공중의제 → 정부의제
다: 사회문제 → 정부의제 → 공중의제
|
① 가: 동원형, 나: 외부주도형, 다: 내부접근형
② 가: 내부접근형, 나: 동원형, 다: 외부주도형
③ 가: 외부주도형, 나: 내부접근형, 다: 동원형
④ 가: 내부접근형, 나: 외부주도형, 다: 동원형
문제 03번
2019 서울 7급
03. 콥(Cobb)과 로스(Ross)가 유형화한 정책의제설정모형 중 사회문제 → 정부의제 → 공중의제의 순서로 전개되는 것은?
① 외부주도형
② 동원형
③ 내부접근형
④ 음모형
문제 04번
2009 국회 8급 등 총 6회 출제
04. 주도집단에 따른 정책의제 설정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부접근형은 행정관료가 의제설정을 주도하는 유형이다.
② 동원형은 정부의제화한 후 구체적인 정책결정을 하면서 공중의제화한다.
③ 내부접근형에서 정부의제는 정부PR을 통해 공중의제화된다.
④ 외부주도형은 이익집단이 발달하고 정부가 외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치체제에서 주로 나타난다.
⑤ 동원형은 정부의 힘이 강하고 민간부문의 힘이 취약한 후진국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해설 보기
정답: ③
내부접근형은 공중의제 과정과 정부PR과정이 필요없습니다.
|
문제 05번
2017 국회 9급
05. 다음 중 정책의제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외부주도형이란 정부 바깥에 있는 집단이 자신들에게 피해를 부고 있는 사회문제를 정부가 해결해 줄 것을 요구하여 이를 사회쟁점화하고 공중의제로 전환시켜 결국 정부의제로 채택하도록 하는 의제설정 과정이다.
② 동원형은 정책결정자가 주도하여 정부의제를 만드는 경우로 정치지도자들의 지시에 의하여 사회문제가 바로 정부의제로 채택되고 일반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정부의 PR 활동을 통해 공중의제가 된다.
③ 내부접근형은 정부기관 내의 관료집단이나 정책결정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부집단이 최고 정책결정자에게 접근하여 문제를 정부의제화 하는 경우이다.
④ 내부접근형은 정부가 공중의제화 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주도 집단이 정책의 내용도 미리 결정하고 이 결정된 내용을 그대로 또는 최소한의 수정만으로 집행하려고 시도한다.
⑤ 동원형은 허쉬만(Hirschman)이 말하는 강요된 정책문제에 해당된다.
해설 보기
정답: ⑤
동원형은 허쉬만이 말하는 체택된 정책문제입니다.
③ 로비스트들이 접근하여 정부기관내의 정책결정자에게 의제화 하는 것을 요구할 수있습니다.
|
문제 06번
2012 국가 7급
06. 정책의제설정모형에 대한 설명 중 동원모형에 해당되는 것은?
① 정부 지도자들이 대중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공공관계 캠페인(public relations campaign)을 벌인다.
② 정책확장이 정책과 관련된 주제에 대하여 특별한 지식이나 관심을 가진 집단들에 한정하여 이루어진다.
③ 심볼 활용(symbol utilization)이나 매스 미디어 등을 통해 쟁점이 확산된다.
④ 정책결정자들이 정치 과정을 통하여 사회적 이슈를 공식적 정책의제로 채택하는 전략적 과정을 설명하는 논리이다.
해설 보기
정답: ①
동원형은 PR을 합니다.
② 내부 주도형
③ 외부 주도형
④ 외부주도형
|
문제 07번
2016 지방 7급
07. 메이(May)는 정책의제설정의 주도자와 대중의 관여 정도에 따라 정책의제설정과정을 네 가지 유형(A~D)으로 구분하였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중 관여 정도
정책의제 설정의 주도자
|
높음
|
낮음
|
| 민간
|
A
|
B
|
| 정부
|
C
|
D
|
① A는 외부집단이 주도하여 정책의제 채택을 정부에게 강요하는 경우로 허쉬만(Hirchman)이 말하는 '강요된 정책문제'에 해당된다.
② B의 경우 정책결정에 영향력을 가진 집단은 대중들에게 정책을 공개하여 지지를 획득하려고 한다.
③ C에서는 이미 민간집단의 광범위한 지지가 형성된 이슈에 대하여 정책결정자가 지지의 공고화(consolidation)를 추진한다.
④ D는 정부의 힘이 강하고 이익집단의 역할이 취약한 후진국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해설 보기
정답: ②
내부접근형은 은밀하게 정책의제를 형성합니다. 대중에게 공개하고 지지를 받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습니다.
③ 굳히기형은 정부가 주도하고 민간의 지지가 높으므로 PR 없이 굳히면 됩니다.
|
문제 08번
2015 서울 7급
08. 정책의제설정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올림픽이나 월드컵 유치 등 국민들이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사례는 외부집단이 주도한 외부주도형이다.
② 내부접근형은 대중의 지지를 획득하기 위한 공중의제화 과정이 없다는 점에서 공중의제화 과정을 거치는 동원형과 다르다.
③ 사회문제가 바로 정책의제로 채택되는 과정을 거치는 모형은 외부주도형이다.
④ 동원형은 공중의제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행정부의 영향력이 작고 민간부문이 발전된 선진국에서 많이 나타나는 모형이다.
해설 보기
정답: ②
내부접근형은 PR을 하지 않습니다.
① 동원형
③ 사회문제가 바로 정책의제로 채택되는 과정을 거치는 모형은 내부주도형입니다.
④ 동원형은 공중의제화 과정을 거치지만, 후진국에서 나타나는 유형입니다. 행정부의 영향력이 작고 민간부문이 발전된 선진국에서 많이 나타나는 모형은 외부주도형입니다.
|
문제 09번
2021 국회 8급
09. 다음 상황을 설명하는 정책의제설정모형은?
|
새마을운동은 국가의 주도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국민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극을 줬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
① 동원형
② 내부접근형
③ 외부주도형
④ 굳히기형
해설 보기
정답: ①
국민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극을 줬다는 설명에서 PR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문제 10번
2020 국가 7급
10. 정책의제설정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부접근형(inside access model)에서 정부기관 내부의 집단 혹은 정책결정자와 빈번히 접촉하는 집단은 공중의제화하는 것을 꺼린다.
② 동원형(mobilization model)에서는 주로 정부 내 최고 통치자나 고위정책결정자가 주도적으로 정부의제를 만든다.
③ 외부주도형(outside initiative model) 정책의제 설정은 다원화된 정치체제에서 많이 나타난다.
④ 공고화형(consolidation model)은 대중의 지지가 낮은 정책문제에 대한 정부의 주도적 해결을 설명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④
공고화 정책은 대중의 지지가 높습니다.
|
문제 11번
2022 지방·서울 9급
11. 홀릿(Howlett)과 라메쉬(Ramesh)의 모형에 따라 정책의제 설정 유형을 분류할 때, (가) ~ (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중 지지
의제설정주도자
|
높음
|
낮음
|
| 사회 행위자
|
(가)
|
(나)
|
| 국가
|
(다)
|
(라)
|
① (가) - 시민사회단체 등이 이슈를 제기하여 정책의제에 이른다.
② (나) - 특별히 의사결정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는 집단이 정책을 주도한다.
③ (다) - 이미 공중의 지지가 높기 때문에 정책이 결정된 후 집행이 용이하다.
④ (라) - 정책결정자가 이슈를 제기하면 자동적으로 정책의제화 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집행을 위한 공중의 지지는 필요없다.
해설 보기
정답: ④
동원형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PR 등을 통하여 공중의 지지를 이끌어내야 하는 모형입니다.
① 외부주도형
② 내부주도형
③ 굳히기형
|
문제 12번
2022 지방 7급
12. 정책의제 설정과정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부접근모형에서는 일반 시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관료집단이 주도한 의제가 정부의 홍보활동을 통해 공중의제로 확산된다.
② 동원모형은 정치지도자의 지시에 따라 사회문제가 바로 정부의제로 채택되며 정부의 힘이 강하고 민간 부문이 취약한 후진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③ 외부주도형은 이익집단들에 의해 제기된 문제가 여론을 형성해 공중의제로 전환되며 정부가 외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치체제에서 자주 볼 수 있다.
④ 공고화모형에서는 이미 광범위한 일반 대중의 지지가 있는 경우에, 정부는 동원 노력보다는 이미 존재하는 지지를 그대로 공고화해 의제를 설정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①
내부접근모형은 PR 과정이 생략됩니다.
|
행정학 이론
정책 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