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대안 결과 예측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해당 챕터는 이론적 예측, 연장적 예측, 직관적 예측에 어떤 기법들이 있는 지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도 출제되므로 꼭 암기하세요.
정책 대안 결과 예측 설명

정책 대안 결과 예측 기출 문제
문제 01번
2008 서울 9급 등 총 3회 출제
01. 다음 미래예측방법 중 이론적 미래예측기법이 아닌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시계열 분석은 예측이 아니라 투사입니다. 예측은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해서 미래를 최대한 예측하려하는 것이고, 투사는 현재의 상황을 대충 연장하여 단순 추측하는 것입니다. |
문제 02번
2010 서울 7급
02. 불확실성은 미래예측, 전략경영 등에 요구되는 지식의 부족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불확실성의 대처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총체적 합리성이 아니라 한정적 합리성을 추구할 수밖에 없습니다. |
문제 03번
2019 지방 9급 등 총 2회 출제
03. 정책과정에서 정책결정자가 불확실한 것을 확실하게 하려는 '불확실성의 적극적 극복방안'에 해당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ㄱ. 민감도 분석 ㄴ. 이론 개발 ㄷ. 정책 델파이 ㄹ. 정보의 충분한 획득 |
해설 보기
|
정답: ③
민감도 분석은 불확실성을 극복하려는 적극적 대처방안이 아니라 소극적 대처방인입니다. |
문제 04번
2020 경정승진
04. 정책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대처방안 중 소극적 대처 방안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환경의 통제하는 경쟁기관과의 협상이나 타협은 불확실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입니다. |
문제 05번
2019 경찰간부
05. 행정에서 불확실성에의 대처방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악의 불확실성을 가정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보수적 접근입니다. 악조건 가중분석은 최선의 대안은 최악의 상황을 다른 대안은 최선의 상황을 가정해보는 분석입니다. |
문제 06번
2019 지방 9급
06. 정책 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대처방안 중 소극적인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① 적극적 대처 ② 적극적 대처 ③ 적극적 대처 |
문제 07번
2022 국회직 8급 행정학
07. 다음 표는 던(W.Dunn)이 분류한 정책대안 예측 유형과 그에 따른 기업이다. 분류가 옳지 않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 ㄱ. 시계열 분석 ㄴ. 최소자승 경향 추정 ㄷ. 경로분석 |
|
| ㄹ. 선형기획법 ㅁ. 자료전환법 ㅂ. 회귀분석 |
|
| ㅅ. 격변예측기법 ㅇ. 정책 델파이 ㅈ. 교차영향분석 |
해설 보기
|
정답: ④
ㄷ. 경로분석은 예견 ㅁ. 자료전환법은 투사 ㅅ. 격변예측기법은 투사 |
문제 08번
2007 국가 7급
08. 다음은 정책분석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되는 분석기법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잘못 설명되고 있는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가장 두드러진 대안에 불리한 값을 대입하여 우선순위의 변화를 통해 종속변수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방법은 악조건 가중분석입니다. 분기점분석(break-even analysis)은 대안들이 동등한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이 필요한지 분석하는 것입니다. |
문제 09번
2014 지방 7급
09. 행정에서 불확실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처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불확실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보 수집 활동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게 됩니다. |
정책 대안 결과 예측 글 마치겠습니다.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체제분석 SA(System Analy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