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사전 요약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은 데이터 흐름도(DFD)에 나오는 자료를 더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기록하는 도구입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Meta Data)라고도 부릅니다.
자료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호들이 사용되어 데이터의 구조와 특성을 표현합니다.
-
=
기호는 ‘~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자료의 정의를 나타냅니다. -
+
기호는 두 요소가 함께 연결되는 ‘그리고(and)’ 관계를 의미합니다. -
()
괄호는 생략 가능한 자료를 나타내며, 필수가 아닌 선택 요소임을 뜻합니다. -
[]
대괄호는 선택 항목, 즉 ‘또는(or)’ 관계를 나타냅니다. -
반복을 표현할 때는
( )
안에n
또는m:n
형식을 써서 반복 횟수를 명시합니다. -
*
기호는 자료에 대한 설명 또는 주석(Comment)을 나타냅니다.
자료 사전 기출 문제
2024년 1회
05. 다음 중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에서 선택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해설 보기
정답: ① 자료 사전에서 사용하는 기호 중 • [ ] 는 선택을 의미하며,• { } 는 반복,• + 는 연결,• = 는 정의를 나타냅니다.따라서 선택을 의미하는 기호는 ① [ ] 입니다.
|
자료 사전 부가 설명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은 정보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특히 데이터 흐름도(DFD, Data Flow Diagram) 작성 시 그 안에 등장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고 기록하는 것이 핵심인데요.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의미와 속성, 흐름, 구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료 사전의 정의와 필요성, 그리고 각종 기호의 의미에 대해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료 사전의 정의와 역할
자료 사전은 데이터 흐름도 내에 등장하는 데이터 항목을 상세하게 설명한 목록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료 사전(Data Dictionary, DD)’이라 부르며, 이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므로 ‘메타 데이터(Meta Data)’라고도 표현합니다. 즉, 단순한 데이터 나열이 아니라 각 데이터의 의미, 구조, 형식, 제약조건 등을 문서화하여 개발자나 사용자 모두가 같은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죠.
자료 사전은 시스템 분석 및 설계 과정에서 데이터의 혼선을 방지하고, 정확한 시스템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회원 정보’라는 데이터 항목이 있다면, 자료 사전에서는 이 항목이 어떤 속성(예: 이름, 연락처, 주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어떤 형식인지, 필수 항목인지 등을 명확하게 기술하게 됩니다.
자료 사전 기호 해석 요약
자료 사전에서는 일관된 문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구성과 관계를 표현하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기호들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호들은 데이터 구조의 반복, 선택, 생략 등을 나타내며 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명확히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성과 논리 구조 표현 기호
먼저 =
기호는 자료의 정의를 나타내며, 어떤 요소들이 그 데이터 항목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회원정보 = 이름 + 연락처
라고 표기하면, ‘회원정보’는 ‘이름’과 ‘연락처’로 구성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
기호는 데이터 항목 간의 논리적 연결을 의미하며, ‘그리고(and)’의 의미를 갖습니다. 반면, |
기호는 선택을 나타내는 기호로 ‘또는(or)’의 개념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괄호는 생략이 가능한 데이터를 나타내며, 해당 데이터 항목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시스템 구현 시 입력값이 필수가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복, 주석 및 설명 기호
반복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
괄호 안에 반복 횟수나 범위를 나타내는 형태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n)
은 해당 항목이 1번 이상, 최대 n번까지 반복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m
은 m 이상의 반복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반복 구조 표현은 리스트형 데이터나 다중 입력 값이 있는 항목을 설명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또한 *
기호는 주석을 나타내며, 해당 데이터 항목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Comment)을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용도나 제약 조건 등 보충 설명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자료 사전 활용의 중요성과 기대 효과
정확하게 작성된 자료 사전은 시스템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큰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흐름도와 함께 사용하면 데이터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데이터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설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개발자 또는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 시 기준이 되는 문서로 활용되며, 유지보수 시 데이터 구조를 다시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결국 자료 사전은 단순한 목록이 아니라, 시스템의 데이터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고 일관된 기준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정보 시스템의 품질과 완성도가 한층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