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집행 신축성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예산 집행에서 신축성을 줄 수 있는 방안은 13가지나 됩니다. 어떤 것들이 있는 지는 당연히 알아야 하고, 각 방안의 개념 및 절차까지 암기하셔야 합니다. 자주 출제되니 꼭 암기하세요.
예산 집행 신축성 설명



예산 집행 신축성 O/X 문제
O/X 1번
2018 국가직 9급
01.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추가경정예산은 예산의 신축성 확보를 하기 위한 제도로서, 최소 1회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도록 국가재정법에 규정되어 있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한 번도 편상하지 않아도 되고, 계속 편성해도 됩니다. 7차례 편성된 적도 있습니다. | 
O/X 02번
2013 국가직 9급
02.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정부 예산 집행의 신축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예산의 전용제도는 국회의 동의를 구해야 하므로 재정민주주의 확보에 기여하는 제도적 장치이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전용은, 국회의 동의를 필요하지 않으며, 재정민주주의를 저해합니다. | 
O/X 03번
2014 지방직 9급 등 총 2회 출제
03.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지출통제예산은 구체적 항목별 지출에 대한 집행부의 재량행위를 통제하기 위한 예산이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지출통제예산은 항목별 구분을 없애고 지출을 총액으로만 통제하는 예산제도입니다. 따라서 통제가 아니라 신축성을 주는 제도입니다. | 
예산 심의 👆
예산 집행 신축성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13 경찰간부
01. 예산의 신축적 집행을 위한 제도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연부액도 국회의 의결을 얻어야 합니다. | 
기출 02번
2019 국가직 9급 등 총 11회 출제
02. 예산집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전용은 국회 승인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 
기출 03번
2016 지방직 7급
03. 다음은 예산의 이용과 전용에 대한 설명이다. ( ㄱ )과 ( ㄴ )에 해당하는 것은?
| 이용은 국회에서 승인된 예산 중 ( ㄱ ) 간 울타리를 뛰어 넘어 자금을 이전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반면, 전용은 ( ㄴ ) 간 울타리를 뛰어 넘어 자금을 이전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 
해설 보기
| 정답: ③ 이용은 입법과목인 장, 관, 항 간의 이전이고, 전용은 행정과목인 세항과 목의 이전입니다. | 
기출 04번
2021 국가직 7급
04. 예산의 이용과 전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① 이용은 기획재정부 장관 승인이 필요합니다. ③ 항은 전용이 불가합니다. 세항과 목만 가능합니다. ④ 이용과 전용은 질적 한정성의 예외입니다. | 
기출 05번
2021 지방직·서울직 9급
05. 지방자치단체의 예비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지방의회의 예산안 심의 결과 감액된 지출항목은 예비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출 06번
2008 경북 9급 등 총 9회 출제
06. 예비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예비비 관리는 기획재정부 장관이 합니다. | 
기출 07번
2007 지방직 9급 등 총 2회 출제
07. 예비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① 완전성이 아니라 한정성 원칙에 대한 예외입니다. ② 기획재정부장관이 관리합니다. ④ 봉급, 급량비는 목적예비비에 해당합니다. | 
기출 08번
2013 경찰간부
08. 예산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명시이월은 여러번 가능하지만, 사고이월은 한번만 가능합니다. | 
기출 09번
2008 국가직 9급 등 총 7회 출제
09. 우리나라의 국고채무부담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국고채무부담행위는 법률, 세출예산, 계속비 외에 정부가 채무를 부담하는 행위입니다. | 
기출 10번
2009 지방직 9급 등 총 6회 출제
10. 예산집행의 신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② 이체는 국회의 승인이 필요 없습니다. ③ 명시이월은 여러번 가능하지만, 사고이월은 딱 1번만 가능합니다. ④ 연장은 국회의 의결이 필요합니다. | 
기출 11번
2006 국가직 9급
11. 다음 중 국회의 의결을 필요로 하는 예산집행의 신축성 확보 방안으로만 묶여진 것은?
| ㄱ. 수입대체경비 ㄴ. 이용 ㄷ. 명시이월 ㄹ. 계속비 ㅁ. 이체 ㅂ. 국고채무부담행위 ㅅ. 사고이월 ㅇ. 전용 ㅈ. 예비비 | 
해설 보기
| 정답: ③ 국회 의결이 필요한 것은 이용, 명시이월, 계속비, 계속비 연장, 예비비 설치, 국고채무부담행위입니다. | 
기출 12번
2016 국회직 8급
12. 다음 중 우리나라의 예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원칙적으로 5년이고, 예외적으로 10년까지로 할 수 있습니다. | 
기출 13번
2017 서울직 9급 등 총 11회 출제
13. 예산의 신축적 집행을 위한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예산의 입법과목에 대해서 그 집행용도를 사용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전용이 아니라 이용입니다. | 
기출 14번
2021 국회직 8급
14. 우리나라 예산집행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다음에서 모두 고르면?
| ㄱ. 총괄예산제도는 예산집행의 신축성을 위한 제도이다. ㄴ. 계속비는 사전승인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 국가가 지출할 수 있는 연한은 원칙적으로 그 회계연도로부터 5년 이내이다. ㄷ. 예비비는 일반회계 예산총액의 1/00 이내에서 계상할 수 있다. ㄹ. 국고채무부담행위에는 차관, 국공채 등이 포함된다. | 
해설 보기
| 정답: ② ㄴ. 계속비는 한정성 원칙에 대한 예외입니다. ㄹ. 국고채무부담행위에는 차관과 국공채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 
기출 15번
2011 국회직 8급
15. 예산집행의 신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정부조직 등에 대한 법령의 제정·개정·폐지로 인해 그 직무권한에 변동이 있을 때 예산도 이에 따라서 변동시키는 것은 이체입니다. | 
기출 16번
2012 지방직 7급 등 총 5회 출제
16. 행정기관 등에 관한 법령의 제정, 개정, 또는 폐지로 인하여 그 직무 권한의 변동이 있을 때, 예산도 이에 따라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는?
해설 보기
| 정답: ③ 법령의 제정, 개정, 또는 폐지로 인하여 그 직무 권한의 변동이 있을 때, 예산도 이에 따라 변경시키는 것은 이체입니다. | 
기출 17번
2016 교행직 9급
17. 예산집행과 관련된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예비비로는 공무원의 보수 인상을 위한 인건비를 충당할 수 없습니다. | 
기출 18번
2015 지방직 9급
18. 우리나라의 예산제도와 그 목적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목적은 투명성과 민주성입니다. | 
기출 19번
2015 지방직 7급
19. 국가재정법상 예산집행에 있어서 신축성을 보장하는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이체는 중앙관서 장의 요구와 기획재정부의 승인으로 가능합니다. | 
기출 20번
2020 서울속기 9급
20. 국가재정법상 국가재정 운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120일 전까지 제출해야 합니다. | 
기출 21번
2019 서울직 7급 추가채용
21. 국가재정법에 규정되어 있는 예산의 전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① 전용을 할 때 즉시 제출해야 합니다. ② 예산에 계상되지 않은 사업은 전용할 수 없습니다. ④ 전용은 행정과목인 세항, 목만 가능합니다. 입법과목인 관과 항은 전용할 수 없습니다. | 
기출 22번
2017 교행직 9급 등 총 4회 출제
22. 예산집행의 신축성 유지 방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① 추가경정예산은 국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되어야 집행이 가능합니다. ② 일반회계 100분의 1 이내로 계상입니다. ③ 전용은 세항-목 간의 융통을 의미합니다. | 
기출 23번
2022 소방간부
23. 국고채무부담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완성에 수년이 필요한 공사나 제조 및 연구개발 사업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계속비 입니다. 국고채무부담행위는 용도나 대상에 제한이 없습니다. | 
예산 편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