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회복중 신용불량자 차이

신용회복중 신용불량자 차이

신용회복중 신용불량자 차이 알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신용불량자와 신용회복 중인 사람의 차이점, 공통점, 그리고 그에 따른 현실적인 대우까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신용회복과 신용불량, 둘의 차이는 분명합니다

신용불량자와 신용회복 지원 대상자는 엄연히 법적·행정적으로 다른 상태입니다. 두 제도 모두 ‘채무를 제때 갚지 못한 상황’에서 출발하지만, 이후의 처리 방식과 금융기관의 평가 기준은 크게 다릅니다.

신용불량자는 연체 상태가 계속되는 사람입니다

신용불량자, 정확한 표현으로는 ‘금융채무불이행자’란, 일정 기간 이상 채무를 갚지 못해 연체 기록이 신용정보원(NICE, KCB 등)에 등록된 상태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기준은 3개월 이상 연체 또는 법원의 지급명령, 강제집행 등의 절차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예시

직장인 A씨는 1년 전 급전이 필요해 카드론으로 300만 원을 대출받았습니다. 이후 실직으로 인해 3개월 이상 연체되었고, 채권자는 결국 신용정보원에 A씨의 연체 사실을 금융채무불이행 정보로 등록했습니다. 이때부터 A씨는 사회적으로 ‘신용불량자’로 불리며, 각종 금융 거래가 거의 불가능해졌습니다.

신용불량자로 등록되면, 대출, 신용카드 발급, 휴대폰 할부 개통, 오토리스 이용 등 신용 기반의 거래는 사실상 막힌다고 봐야 합니다. 이 상태는 본인의 의지만으로 풀 수 없으며, 대부분은 강제추심을 겪거나, 회생·파산·신용회복 제도를 통해 벗어나야 합니다.

신용회복은 채무를 갚기로 합의한 상태입니다

반면 신용회복 지원 제도는 연체 상태가 발생했더라도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채권자와 협의를 통해 분할상환 또는 이자 감면 등의 방식으로 변제해나가는 제도입니다. 신청은 ‘신용회복위원회’를 통해 이뤄지며, 본인이 상환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신용불량자와는 다르게 평가됩니다.

예시

프리랜서 B씨는 소득이 일정하지 않아 카드값을 2개월 넘게 연체하다가 신용회복위원회를 찾아가 채무조정을 신청했습니다. 1,200만 원의 채무 중 일부 이자는 탕감받고, 원금을 매달 20만 원씩 5년 동안 갚는 조건으로 합의했습니다. 이때부터 B씨는 ‘신용회복 지원자’로 분류되며, 연체 기록은 유지되지만 ‘성실 상환자’로 평가받기 시작합니다.

신용회복제도는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일정 기간 성실하게 상환할 경우 신용점수가 다시 오르고, 서민금융진흥원 등에서 소액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왜 신용불량자처럼 느껴질까요?

실제로 신용회복 중이라도 일상에서 체감하는 불편함은 신용불량자와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의 심사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은행이나 카드사는 여전히 신용회복 중인 사람을 ‘위험고객’으로 분류합니다. 신용회복 자체가 ‘과거에 연체를 했던 기록’이기 때문에, 대출이나 카드 발급 등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예시

C씨는 2년 전 신용회복 절차에 들어가 매달 변제를 잘 이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고차를 사기 위해 캐피탈 대출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연이어 거절당합니다. 이유는 ‘신용회복 지원 중인 고객은 리스크가 높다’는 사내 심사 기준 때문입니다.

이처럼 신용회복 중인 상태라도, 금융권에서는 그리 우호적이지 않은 평가를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때문에 스스로 ‘나는 신용불량자인가?’ 하는 오해를 하게 되는 것이죠.

신용회복 중이더라도 가능성은 다릅니다

그렇다고 신용회복 중인 사람과 신용불량자가 완전히 같은 취급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차이는 ‘회복 가능성’에 있습니다.

신용회복자는 신용점수 회복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용회복 지원을 개시하고, 6개월 이상 성실 납부를 지속하면, 신용정보원에 ‘성실상환자’라는 평가 정보가 올라갑니다. 이는 금융권에서도 점차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이후 조건에 따라 소액대출이나 카드 재발급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신용불량자는 사후 복구가 어렵습니다

신용불량자로 등록된 상태에서는, 변제를 완료하더라도 기록 자체는 5년간 유지됩니다. 신용등급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회생, 파산, 조정 등의 절차를 마쳐야 하며, 이마저도 일정 시간이 소요됩니다.

결론적으로, 신용불량자와는 다릅니다

정리하자면, 신용회복 중인 상태는 신용불량자와 같은 ‘문제 발생’에서 출발하지만, 그 이후의 경로는 완전히 다릅니다. 신용회복은 신용을 다시 쌓아가기 위한 제도이며, 미래의 금융 활동 재개를 위한 발판입니다.

신용회복은 절차적으로도, 결과적으로도 ‘신용불량자의 탈출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신용회복 중이시라면, 나 자신을 신용불량자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회복 중’이라는 점에 집중해 주시길 바랍니다.

혹시 현재 본인의 신용상태가 명확하지 않거나, 회복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신용회복위원회’나 ‘금융감독원 1332 상담센터’ 등을 통해 구체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불합리한 대우 직장 알바 프리랜서 대처 방법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