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 자격증 장기미종사자 교육

보육교사 자격증 장기미종사자 교육

보육교사 자격증 땄는데 오랜 시간 어린이집에서 일하지 않았다면 장기미종사자 교육 받아야 할까요? 자격증을 취득한 지 몇 년이 지난 상태라면 더욱 불안할 수밖에 없죠. 이 글에서는 장기미종사자 교육의 개념부터 수료 이후 실제 근무 시점에 관한 궁금증까지, 실질적인 정보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기미종사자 교육이 필요한 이유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한 지 시간이 지났더라도 어린이집 근무 경험이 없다면, 현장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장기미종사자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교육은 단순히 ‘오래 쉬었기 때문에’가 아니라, 자격증 취득 이후 2년 이상 보육 관련 업무를 수행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대상이 됩니다.

처음부터 어린이집에서 근무를 하지 않았거나, 다른 분야에 종사하며 보육현장을 떠나 있었던 경우에도 모두 해당됩니다. 보육교사 자격이 있다고 해서 곧바로 아이들을 돌볼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 현재의 보육 정책과 아동 보호 기준, 학대 예방, 안전 교육 등을 다시 배우는 과정이 바로 이 장기미종사자 교육입니다.

교육은 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약 40시간 내외의 이론 강의와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어 비교적 여유롭게 수강할 수 있는 편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며, 수강 후 수료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만 받고 바로 취업 안 하면?

장기미종사자 교육은 기본적으로 한 번만 수료하면 된다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시 말해,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는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수료한 이후 시간이 조금 지나더라도 다시 교육을 받을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실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부 어린이집이나 지자체에서는 수료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 취업하려는 경우, 재교육을 권유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특히 교육 수료 후 1년이 넘게 지난 경우에는 보육정보센터나 원장이 ‘최신 기준에 맞는 상태인지’를 고려해 추가 교육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법적으로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강제할 수는 없지만, 실제 취업 과정에서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수료 후 1년 이내에 취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서류 준비도 중요한 과정입니다

어린이집에 근무를 시작하려면 장기미종사자 교육 수료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온라인 수강 사이트에서 PDF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출력본을 제출 서류로 요구하는 어린이집도 적지 않습니다.

보건복지부의 보육인력관리시스템에 수료 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되지만, 어린이집 원장이 직접 시스템을 열람하지 않거나 행정 처리를 외부에 맡기는 경우에는 여전히 종이 서류가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수료증이 없다면 재발급을 받아야 하므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교육 수료 이력이 시스템에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https://chrd.childcare.go.kr/에 접속해 로그인한 후, 자격 정보 및 교육 이수 내역을 살펴보면 현재 등록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혹 등록 누락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미리 점검해두면 이후 취업 과정에서 불필요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시 들어야 할까? 결론은 아닙니다

장기미종사자 교육은 한 번만 이수하면 되는 교육이기 때문에, 이를 수료한 이후라면 다시 들을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2월에 수료하고 나서 2025년에 어린이집 취업을 시작한다면, 법적으로도 행정적으로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교육 수료 후 1년이 넘어서 근무를 시작할 경우, 일부 어린이집에서 재교육을 원할 수 있으니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취업을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료증과 자격 등록 사항을 정확히 관리하고 있는지도 꼭 확인해두셔야 합니다.

한 번 수료한 교육을 반복해서 듣는 일은 시간과 비용 모두 낭비일 수 있으므로, 필요 이상의 걱정보다는 정확한 정보에 따라 준비하시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이 글이 장기미종사자 교육을 수료하고도 취업 시기를 고민하고 있는 분들께 명확한 기준이 되어드리길 바랍니다.

등 위쪽 통증으로 고생하는 수험생의 힐링 비법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