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어 공공가치창출론 최근 공무원 시험 행정학에서 출제되기 시작했습니다.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한번만 공부하면 쉽게 맞출 수 있습니다. 모닝스터디에서 누구보다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간단히 읽고 기출 문제를 풀어보세요.
![마크 무어](https://morningstudy.com/wp-content/uploads/2024/06/Mark-Moore.png)
무어 공공가치창출론 개념
무어의 공공가치창출론은 정부가 공공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입니다. 그 과정이 어떻게 되는 지 전략적 삼각형을 통해 설명해주는 이론일 뿐입니다. 따라서 전략적 삼각형에 어떤 내용들이 있는 지만 알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습니다.
Moore 전략적 삼각형
Moore의 전략적 삼각형은 정당성과 자원확보, 공적 가치의 형성, 운영 역량의 형성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세가지가 상호 의존적이며,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당성과 자원 확보
이 요소는 공공 관리자가 자신의 계획이나 프로젝트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고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당성은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그들의 지지를 얻는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자원은 재정, 인적 자원,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나 정책의 실행 가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당성이 확보되면 자원을 더 쉽게 확보할 수 있으며, 반대로 자원을 확보하면 프로젝트의 정당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공적 가치의 형성
공적 가치 형성은 공공 관리자가 추구하는 목표와 사회적 가치가 명확하게 정의되고 공공의 이익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명확히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정의된 공적 가치는 정당성을 확보하고 자원을 모으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명확한 공적 가치는 공공 정책이나 서비스가 어떻게 설계되고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운영 역량의 형성
운영 역량은 공공 기관이 자신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기술, 지식, 절차, 그리고 조직 구조와 같은 내부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강력한 운영 역량은 공공 가치의 효과적인 창출과 정당성 확보에 필수적이며, 이는 다시 자원 확보를 용이하게 합니다. 반면, 운영 역량이 부족하면 공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상호 의존성
그렇다면 이 요소들이 어떻게 의존적이라는 것일까요? 어렵게 생각하지마세요. 단순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자원 확보 없이는 운영 역량을 강화하기 어렵고, 운영 역량이 부족하면 공공 가치를 효과적으로 창출하거나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공공 관리자가 이러한 요소들을 조화롭게 관리하면서 공공 부문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헷갈리는 개념
솔직히 완벽히 이해는 되지 않을 겁니다. 정당성과 공적 가치의 형성 개념 구분이 되지 않고, 자원확보와 운영 역량의 형성 개념도 확실히 구분되지 않을 겁니다. 그만큼 비슷한 개념이고 상호의존적이라는 뜻입니다. 지금부터 설명해드리는 내용은 심화 내용입니다. 시험과는 관계 없으므로,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
정당성과 공적 가치 형성 구분
정당성은 주로 프로젝트나 정책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얼마나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며, 이를 통해 필요한 지지와 자원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반면, 공적 가치 형성은 프로젝트나 정책이 추구하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목표와 결과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어떤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두 개념은 상호 의존적이며, 함께 작동하여 공공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공공 가치를 창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두 요소가 잘 조화를 이루고 실행되면, 공공 프로그램과 정책이 성공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자원확보와 운영 역량의 형성 구분
자원 확보는 필요한 자원을 모으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운영 역량의 형성은 그 자원을 사용하여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내부적 능력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자원 확보는 외부적 활동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자금과 자원을 조달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운영 역량의 형성은 조직 내부의 구조, 절차, 인력 관리 등을 개선하여 전체적인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활동입니다.
무어 공공가치창출론 공무원 기출 문제
문제 01번
01. 무어(Moore)의 공공가치창출론(creating public value)적 시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신공공관리론을 계승하지도 않았고, 행정을 수단성으로 보지 않고 목표 그 자체로 봅니다. |
참고 자료: Public :: News (esade.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