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행정학 지방 권한 부여 방식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개별적 지정주의와 포괄적 예시주의를 구분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우리나라의 지방 권한 부여 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되는 지를 묻는 문제도 출제됩니다.
공무원 행정학 지방 권한 부여 방식 설명
2025 무직자 대출 가능한 곳 TOP5 👆
공무원 행정학 지방 권한 부여 방식 O/X 문제
무직자 신용카드 한도 대출 👆O/X 01번
2010 국회직 9급
01.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배분방식은 포괄적 예시형 기능배분방식을 적용하고 있어 중앙기능의 지방이양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해설 보기
정답: ② X
포괄적 에시주의는 지방이양률이 매우 낮은 편입니다. |
O/X 02번
2018 군무원
02.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는 포괄적 예시주의에 의한 사무배분을 따르고 있어 사무배분이 명확하지 않다.
해설 보기
정답: ① O
맞는 설명입니다. 포괄적 예시주의를 채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사무구분이 불명확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O/X 03번
2016 지방직 7급 지방자치론
03.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중앙과 지방의 사무배분에 있어서 포괄적 예시주의의 단점을 보완한 포괄적 배분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해설 보기
정답: ② X
꼬시고 있는 문제입니다. “너 포괄적이라는 말은 들어봤지? 근데 예시주의인지 배분방식인지 모르지? 애매하잖아~ 그냥 맞다고해!”라고 꼬시는 문제입니다. 우리나라는 포괄적 예시주의입니다. 확실히 암기하세요. |
공무원 행정학 지방자치 👆
공무원 행정학 지방 권한 부여 방식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04 서울직 9급 등 총 7회 출제
01. 다음 중 포괄적 사무배분방식과 관련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⑤
포괄적 사무배분방식으로는 지자체 특성을 고려할 수 없습니다. |
기출 02번
2015 서울직 7급
02. 다음 중 사무의 개별적 배분방식의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개별적 배분 방식에서는 주어진 사무에 중앙정부가 간섭할 수 없습니다. |
기출 03번
2009 지방직 9급 등 총 5회 출제
03.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또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 기능배분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특별지방행정기관은 통일성은 기여하지만 종합행정은 저해합니다. 종합성의 원칙은 특별일선기관을 정비하자는 원칙입니다. |
기출 04번
2005 지방직 9급
04. 지방자치단체간에 사무배분 및 분쟁조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기초자치단체에 우선적으로 분배해야 합니다. |
기출 05번
2010 지방직 7급
05.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포괄적 사무배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실제로는 지방이양률이 저조해서 사무를 제한적으로 인정해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① 포괄적 예시주의와 포괄적 배분방식은 예시의 유무 차이입니다. 예시주의는 예시가 있지만, 배분방식은 예시가 없습니다. |
기출 06번
2021 국가직 7급
06.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 사무배분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지역주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무는 원칙적으로 시·군 및 자치구의 사무로 배분하여야 한다. ㄴ. 서로 관련된 사무들을 배분할 때는 포괄적으로 배분하여야 한다. ㄷ. 시·군 및 자치구가 처리하기 어려운 사무는 국가보다는 시·도에 우선적으로 배분하여야 한다. ㄹ. 시·군 및 자치구가 해당 사무를 원활히 처리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병행하여야 한다. ㅁ. 주민의 편익증진과 집행의 효과 등을 고려하여 지방자치단체 상호 간 중복되지 않다록 해야 한다. |
해설 보기
정답: ④
ㄱ. 기초자치단체 우선의 원칙 ㄴ. 포괄적 배분의 원칙 ㄷ. 보충성의 원칙 ㄹ. 적극적 보충성의 원칙 ㅁ. 중복배분 금지의 원칙 |
기출 07번
2022 경찰간부
07. 다음 중 (가)와 (나) 안에 들어갈 지방자치단체 사무배분 원칙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가 ) 모든 사무는 기본적으로 지방정부가 담당하고 중앙정부는 지방정부가 처리하기 곤란한 사무를 처리해야 한다. ( 나 ) 지방정부가 배분받은 사무는 되도록 지방정부가 자기 책임 아래 독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
해설 보기
정답: ①
가. 보충성의 원칙 나. 포괄성의 원칙 |
기출 08번
2022 군무원 7급
08. 우리나라 현행 지방자치법 제11조에서 정하고 있는 사무배분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민간 참여 확대의 원칙으로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에 규정된 사무배분의 원칙입니다. |
기출 09번
2020 지방직 7급 지방자치론
09. 중앙과 지방 간 사무배분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① 보충성의 원칙 ② 현지성의 원칙 ③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가 사무를 처리할 때 서로 다투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원칙은 비경합성의 원칙입니다. |
국가 지방 갈등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