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선택론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해당 주제는 정말 자주 출제됩니다. 그런데 가끔 모순되는 내용으로 출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순적인 내용은 지금까지 나온 기출 문제를 확인하시고 그 내용만 암기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공공선택론 설명



출제 포인트
- 개념
- 연구 방법
- 유용성과 한계
- 모형별 개념
공공선택론 O/X 문제
O/X 01번
01.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공공재의 공급에서 경제학적인 분석도구를 적용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은 공공부문에 경제학적 관점 도입합니다. |
O/X 02번
02.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사회의 비시장적인 영역들에 대해서 경제학적 방식으로 연구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정치경제학적 접근법 → 비시장적 의사결정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 |
O/X 03번
03.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정치·행정 제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일련의 시도로서 정치경제학적 성격이 강하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은 정치경제학적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
O/X 04번
04.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에서는 정치를 합리적 개인들간의 자발적 교환작용으로 본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에서는 정치도 일종의 교환으로 봅니다. |
O/X 05번
05.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정부를 공공재의 생산자로 규정하며, 시민들은 공공재의 소비자라고 규정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정부를 공공재의 생산자로 규정하며, 시민들은 공공재의 소비자라고 규정합니다. 바꿔서 출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실히 암기하세요. |
O/X 06번
06.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정당 및 관료는 공공재의 소비자이고, 시민 및 이익집단은 공공재의 생산자로 가정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정당 및 관료와 같은 정부는 공공재의 공급자로 보고 시민과 이익집단과 같은 국민은 소비자로 규정합니다. |
O/X 07번
07.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시민과 기업의 참여를 통한 서비스의 공동 공급을 주장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공동 공급은 거버넌스에서 주장합니다. 공공선택론에서 공공재 공급은 정부가 담당합니다. |
O/X 08번
08.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관료에게만 집중되었던 권력을 시민에게 되돌려 줌으로써 시민중심의 공직제도를 구축하고자 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공공선택론에서는 공공재 공급은 정부가 합니다. 권력은 여전히 정부가 갖고 있으며, 시민중심의 공직제도는 형성될 수 없습니다. |
O/X 09번
09.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공공재와 공공서비스의 특질을 중요시하고, 공공정책의 확산 효과 (spill-over effect)를 강조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은 정책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를 강조합니다. |
O/X 10번
10.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인간은 모든 대안들에 대하여 등급을 매길 수 있는 합리적인 존재라고 가정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에서는 인간이 모든 대안들에 대하여 등급을 매길 수 있는 합리적인 존재라고 가정합니다. |
O/X 11번
11.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인간은 철저하게 자기이익을 추구한다고 가정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인간을 합리적인 이기주의자(집단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 중시하는 자)로 봅니다. |
O/X 12번
12.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이론은 행정에서의 소비자 보호운동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고객인 국민의 선호를 중시하는 점에서 소비자 보호 운동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
O/X 13번
13.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시민 개개인의 선호와 선택을 존중하며 경쟁을 통해 서비스를 생산하고 공급함으로써 행정의 대응성이 높아진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은 시민 개개인의 선호를 중시하며 고객중심의 행정을 강조합니다. 이로인해 행정의 대응성이 높아진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
O/X 14번
14.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제도적 장치를 경시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공공선택론은 탈관료제를 주장하면서 새로운 제도적 장치를 중요시합니다. |
O/X 15번
15.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전통적인 정부실패의 한계에서 출발하였으며 관할구역의 분리·중첩타파와 분권화를 주장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중첩을 타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중첩적인 관할 구역을 주장합니다. |
O/X 16번
16.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개인 선호를 중시하여 공공서비스 관할권을 중첩시킬 수도 있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관할권을 중첩시켜서, 소비자인 국민이 공급을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
O/X 17번
17.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전통적 관료제를 비판하고 그것을 대체할 공공재 공급 방식의 도입을 강조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전통적 관료제를 비판하고 대체할 공공재 공급 방식으로 중첩, 분권, 준시장적 수단을 활용합니다. |
O/X 18번
18.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공공선택론은 공공서비스의 효율적 공급을 위해서 분권화된 조직 장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은 탈관료제적 처방으로 분권화된 조직을 주장합니다. |
O/X 19번
19.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개인이 아닌 공공조직을 분석의 기초단위로 채택함으로써 방법론적 개체주의에 반대한다.
해설 보기
|
정답: ② X
개인을 분석 기초단위로 채택하고 방법론적 개채주의를 사용합니다. |
O/X 20번
20. 다음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세요.
연역적 설명방식을 취함으로써 사물에 관한 추론방법을 이용하는데 유용하다.
해설 보기
|
정답: ① O
공공선택론은 연역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
정부실패 대응책 규제완화 👆
공공선택론 기출 문제
문제 01번
01.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의 접근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정당 및 관료는 생산자이고, 시민 및 이익집단은 소비자로 봅니다. |
문제 02번
02. 공공선택론적 행정학 연구의 특징이 아닌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탈관료제적 처방으로 새로운 제도적 장치를 중시합니다. |
문제 03번
03. 행정학의 접근방법 중 공공선택론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ㄱ. 방법론적 개체주의 ㄴ. 국가의지의 강조 ㄷ. 부서목표의 극대화 ㄹ. 합리적 경제인 ㅁ. 교환으로서의 정치 ㅂ. 예산 극대화 |
해설 보기
|
정답: ②
ㄴ, ㄷ: 국가의지나 부서의 목표, 공익보다는 개인의 선호와 이익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중요시합니다. |
문제 04번
04. 공공선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분권화를 주장한 것은 맞으나, 분리·중첩타파가 아닌 중첩을 강조하였습니다. |
문제 05번
05. 행정학의 접근방법으로서 공공선택이론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의사결정을 하는 인원이 증가하면 의사결정 비용이 증가하고, 외부 비용은 감소합니다. |
문제 06번
06.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뷰캐넌(Buchanan), 오스트롬(Ostrom), 니스카넨(Niskanen)은 공공선택론의 대표적인 학자들입니다. ① 티부가설에 의하면 다른 지방정부로 이주하는 것이 개인의 지방정부에 대한 선호 표시의 수단입니다. ② 계층제는 시민 요구에 반응하지 못한다고 봅니다. ④ 공공선택론은 방법론적 개체주의를 추구합니다. |
문제 07번
07.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방법론적 개체주의를 지향합니다. |
문제 08번
08. 애로우(K.J.Arrow)가 제시한 바람직한 집합적 의사결정방법의 기본조건이 아닌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독립성의 원리에 의하면 대안 간에 서로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
문제 09번
09. K.J.Arrow가 제시한 투표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할 조건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투표자의 선호가 안정적이어야 하는데, 기회주의적 행동은 불안정합니다. 기회주의적 선택은 이행성의 원리가 무너지게 하고 투표의 역설이 나타나게 합니다. ① 이행성의 원리 ③ 파레토의 원리 ④ 비독재성의 원리 ⑤ 선호의 비제한성 원리 |
문제 10번
10. 공공선택론(public choice)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공공선택론은 정부의 역할을 시장에 맡겨야한다는 것이지, 시민들에게 권력을 맡겨야 한다는 입장은 아닙니다. 시민중심의 행정은 거버넌스에서 강조하는 요소입니다. |
문제 11번
11. 다음 중 소규모 자치행정 구역을 지지하는 논리로 맞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티부(Tiebout) 모형을 지지하는 공공선택이론가들의 관전 ㄴ. 새뮤얼슨(Samuelson)의 공공재 공급 이론 ㄷ. 지역격차의 완화에 공헌 ㄹ. 주민과 지방정부 간의 소통·접촉기회 중대 |
해설 보기
|
정답: ②
ㄴ.중앙정부의 공공재 공급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ㄷ.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한다는 입장입니다. 격차 완화는 중앙집권의 논리입니다. |
문제 12번
12. 티부가설(Tiebout Hypothesis)의 가정이 아닌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외부 효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문제 13번
13. 티부(Tiebout)의 발로 하는 투표(voting with feet) 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지방소비세가 아니라 재산세가 되어야 합니다. |
문제 14번
14. 오츠(Oates)의 분권화정리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
ㄱ. 중앙정부의 공공재 공급 비용이 지방정부의 공공재 공급 비용보다 더 적게 든다. ㄴ. 공공재의 지역 간 외부효과가 없다. ㄷ. 지방정부가 해당 지역에서 파레토 효율적 수준으로 공공재를 공급한다.. |
해설 보기
|
정답: ④
오츠의 분권화 정리는 티부의 발로 하는 투표 가설과 내용이 같습니다. ㄱ. 지방정부의 공급비용이 더 적게 들어갑니다. |
문제 15번
15. 티부(C. Tiebout)모형의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⑤
다수의 소규모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합니다. ① ② ③ ④ |
문제 16번
16. Tiebout의 '발로 하는 투표'에서 상정하는 지방자치 논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⑤
정보통신 발달 및 생활광역화는 이동의 필요성을 낮추므로 발로하는 투표의 설득력을 낮춥니다. |
문제 17번
17. 티부(Tiebout) 모형의 전제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티부 가설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각 지자체는 한 가지 이상의 고정적 생산요소가 존재해야 합니다. |
문제 18번
18. 니스카넨(Niskanen)의 예산극대화모형(budget-maximization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니스카넨의 예산극대화 모형에 따르면 관료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편익곤석과 비용곡선이 일치하는 지점(순편익이 0이되는 지점)까지 생산을 합니다. 이와 달리 정치인들은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이 교차하는 지점(파레토 최적 지점)까지 생산을 한다고 봅니다. |
문제 19번
19. 예산결정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관점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③
니스칸넨은 관료와 정치인들의 목적함수를 다르게 보았습니다. 하지만 해당 선지는 공공선택론의 전반적인 특성을 물을 것입니다. 일반적인 공공선택론에서는 정치인도 개인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자입니다. ① 공공선택모형은 경제학적 관점을 도입한 방식입니다. 해당 선지는 점증주의 방식에 대한 설명입니다. ② 관료의 최적수준이 정치인의 최적수준보다 높습니다. ④역사적 신제도주의적 접근법에 해당합니다. |
문제 20번
20. 공공선택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급진적인 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현식적합성이 낮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
문제 21번
21. 공공선택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정치학적 분석도구가 아니라 경제학적 분석도구입니다. |
문제 22번
22. 공공선택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공공선택론은 개인의 기득권을 타파하기 힘든 보수주의적 접근이라고 비판받습니다. |
문제 23번
23. 다음과 같은 비판이 제기되고 이쓴 행정학의 접근방법은 ?
|
⊙ 인간은 경제적 이해관계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 정부활동의 성과를 지나치게 시장적 가치로 환원하려는 경향이 있다. |
해설 보기
|
정답: ②
위와같은 비판은 공공선택이론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입니다. |
문제 24번
24. 공공선택론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②
공동 공급에 대한 주장은 거버넌스에서 합니다. |
문제 25번
25. 던리비(Dunleavy)의 관천형성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일상적 기능은 관청 형성해 외부(민영화, 준정부 기관)에 이전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② 예산극대화동기보다는 관청형성동기가 더 강하다고 주장합니다. ③ 중하위 관료는 관청예산보다는 핵심예산의 증대로 이득을 얻습니다. ④ 관료들은 사적이익을 더 우선시 합니다. |
문제 26번
26. 니스카넨(Niskanen)의 예산극대화 이론과 던리비(Dunleavy)의 관청형성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해당 주장은 예산극대화 행동은 일률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닌 것을 강조하며 니스카넨을 비판할 때 사용한 주장입니다. |
문제 27번
27. 관료의 예산극대화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①
정치인들은 관료들의 행동을 감시하기보다는 지지하는 쌍방독점 관계입니다. ② 관료는 개인후생의 극대화를 추구합니다. ③ 행정개혁은 정부실패의 해결인데, 예산극대화 이론은 정부실패의 원인을 설명하는 모형입니다. ④ 윌다브스키가 아니라 니스카넨의 주장입니다. ⑤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이 교차하는 점에서 공공서비스를 공급하자고 주장하는 쪽은 정치인입니다. 관료는 총편익과 총비용이 일치하는 선에서 서비스를 공급하려고 합니다. |
문제 28번
28. 공공선택이론의 주요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해설 보기
|
정답: ④
던리비는 관료의 예산극대화가 일률적이라는 것을 비판하면서, 상황에 따라 예산극대화가 소극적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① 참여자가 많으면 내부비용이 증가합니다. ② 티부는 중앙정부론을 비판합니다. ③ 관료는 총편인과 총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순편익이 0인 지점)까지 생산하려 합니다. |
정부실패 대응책 민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