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행정학 지식 설명 및 기출 글입니다. 드디어 환류론 마지막 챕터입니다. 지식 챕터는 지식의 유형과 지식 행정의 관리 등이 출제됩니다. 특히 형식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을 구분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공무원 행정학 지식 설명
2025 무직자 대출 가능한 곳 TOP5 👆
공무원 행정학 지식 설명
무직자 신용카드 한도 대출 👆기출 01번
2012 국회직 8급
01. 행정정보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클라우드 컴퓨팅은 중앙집권적인 행정시스템을 분권화시키는데 기여합니다. |
기출 02번
2014 해경간부 등 총 3회 출제
02. 행정정보화 및 정보·지식정책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가. 지식관리에서는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을 명시적 지식(explicit knowledge)으로 전환시켜 조직의 지식을 증폭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나. 정보재의 속성상 그 생산자는 자신의 소유권을 명확히 하기 어렵다. 다. 보편적 정보서비스정책의 준거 중에서 활용가능성이란 빈부격차 등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 우리나라의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은 행정안전부장관이 수립한다. 마. 정보는 사물이나 사실을 기호로 표시한 것이고, 지식은 정보가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형태로 가공된 결과이다. |
해설 보기
정답: ①
다. 활용 가능성이아니라 요금 저렴성입니다. 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수립합니다. 마. 자료가 의미있는 형태고 가공되면 정보가 되고, 정보를 읠반화하면 지식이됩니다. |
기출 03번
2015 국회직 8급
03. 다음 중 한국의 대민 전자정부(G2C 또는 G2B)의 사례가 아닌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온나라시스템은 G2G입니다. |
기출 04번
2018 지방직 7급
04. 전자적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집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③
① G2G는 행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② G2C는 대응성을 높여줍니다. ④ G2B은 조당행정 비용을 감소시킵니다. |
기출 05번
2017 국가직 7급
05.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행정개선 사례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공공기관의 공사, 용역, 물품 등의 발주정보를 공개하고 조달절차를 인터넷으로 처리하도록하는 것은 나라장터입니다. |
기출 06번
2011 지방직 9급 등 총 3회 출제
06. 다음 중 지식행정의 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지식행정이 성공하려면 비공식소통이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
기출 07번
2013 지방직 9급 등 총 3회 출제
07. 지식을 암묵지(tacit knowledge)와 형식지(explicit knowledge)로 구분할 경우, 암묵지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업무메뉴얼 ㄴ. 조직의 경험 ㄷ. 순력된 기능 ㄹ. 개인적 노하우(know-how) ㅁ. 컴퓨터 프로그램 ㅂ. 정부 보고서 |
해설 보기
정답: ②
ㄱ, ㅁ, ㅂ 형식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출 08번
2015 서울직 7급 등 총 3회 출제
08. 지식정부 공공행정의 기대효과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지식의 중복황용은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지식정부는 지식을 공유합니다. |
기출 09번
2014 지방직 9급 등 총 4회 출제
09. 지식행정관리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④
계층제적 조직구조가 약화됩니다. |
기출 10번
2012 국가직 9급 등 총 3회 출제
10. 전자정부와 지식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전자정부 발달로 공공정보가 광범위하게 공유됩니다. |
기출 11번
2012 지방직 9급
11. 지식관리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과 거리가 먼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②
지식관리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직적 계측제 조직을 탈피하여 연성조직으로 변화해야 합니다. |
기출 12번
2015 지방직 7급
12.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보기
정답: ①
개인적 지식보다는 조직적 지식을 더 중요시 합니다. |
공무원 행정학 우리나라 전자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