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행정학 문화

공무원 행정학 문화 설명 및 기출 문제 글입니다. 자주 출제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최근에 Hofsted 학자의 선진국과 후진국 행정문화의 비교 문제가 출제되고 있으므로, 확인하고 넘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공무원 행정학 문화 설명

2025 무직자 대출 가능한 곳 TOP5 👆
공무원 행정학 문화
공무원 행정학 권력 👆

공무원 행정학 문화 기출 문제

기출 01번

2012 서울직 9급

01. 행정문화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성원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② 개인에 의해 표현되지만 문화는 집합적이고 공유적이다.

③ 통합성을 유지하면서 하위문화를 포용한다.

④ 인간의 본능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서 익힌 것이다.

시간이 흘려도 변하지 않는 지속성을 가진다.



해설 보기
정답: ⑤

시간이 지나면 강산도 변합니다. 문화는 빠르게 변하지 않는 지연성의 특징을 갖고 있긴 하지만, 시간이 많이 흐르면 변화합니다.





기출 02번

2017 교행직 9급

02. 우리나라의 관료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 권위주의는 집권주의적 조직 운영을 강화하고, 의사결정을 폐쇄화·밀실화한다.

ㄴ. 집단주의는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 욕구를 충족하여 할거주의적 태도를 감소시킨다.

ㄷ. 온정주의는 따뜻한 공동체적 조직 분위기를 조성하여 행정의 공평성과 합리성을 증진시킨다.

ㄹ. 형식주의는 행정의 목표나 실적보다 형식과 절차를 더 중요시하는 목표대치를 조장한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해설 보기
정답: ③

ㄴ. 집단주의는 할거주의는 증가시킵니다.

ㄷ. 온정주의는 공평성과 합리성을 저해합니다.




기출 03번

2010 국회직 9급

03. 우리나라의 전통적 행정문화에 대한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권위주의는 관료제의 집권적 구조를 지탱해 준 문화적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② 연고주의는 직장 내에서 가족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인간관게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③ 온정주의자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사회적 압력에 둔감한 반응을 보인다.

④ 순응주의는 상명하복의 계서적 질서 유지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⑤ 일반인 능력주의(generalist orientation)는 인사운영의 융통성 확보와 관리자 양성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



해설 보기
정답: ③

온정주의자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회적 압력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기출 04번

2015 국가직 7급

04. 행정문화란 행정체제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와 신념, 그리고 태도와 행동양식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호프스테드(Hofstede)의 문화차원을 근거로 하였을 때 한국문화의 특성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개인주의

② 온정주의

③ 권위주의

④ 안정주의



해설 보기
정답: ①

한국은 개인주의와 관련이 없습니다. 최근에는 개인주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긴 하지만, 시험 문제에서는 개인주의라고 볼 수 없습니다.





기출 05번

2004 지방직 9급 등 총 3회 출제

05. 행정문화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전문주의 – 업무의 통합 및 다양화, 융통성 촉진

② 순응주의 – 외부조건에 맹종하는 행동양식

③ 형식주의 – 제도(형식)와 실제와의 괴리

④ 권위주의 – 조직운영의 집권화와 비민주화



해설 보기
정답: ①

전문주의는 업무의 통합 및 다양화 추진 어렵고, 행정의 융통성을 저해합니다.





기출 06번

2021 국가직 7급

06. 홉스테드(Hofstede)의 문화 차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확실성 회피 정도가 강한 경우 공식적 규정을 많이 만들어 불확실한 요소를 최대한 통제하려 한다.

② 집단주의가 강한 문화는 개인주의가 강한 문화보다 상대적으로 느슨한 개인 간 관계를 더 중요시 한다.

③ 권력거리가 큰 경우 제도나 조직 내에 내재되어 있는 상당한 권력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인정한다.

④ 남성성이 강한 문화는 여성성이 강한 문화보다 상대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대한 분명한 차이를 인정하려고 한다.



해설 보기
정답: ②

집단주의가 강한 문화는 개인 간 관계가 긴밀하고 결속력이 강한 특징을 보입니다.





기출 07번

2022 군무원 7급

07. 다음 중 호프스테드(Hofstede)가 비교한 문화의 비교차원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불확실성의 회피

보편주의 대 특수주의

③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④ 장기성향 대 단기성향



해설 보기
정답: ②

일반주의 대 전문주의





행정학 이론

공무원 행정학 갈등 👆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